올 7월부터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기업은행역과 3호선 압구정-현대백화점역, 8호선 단대오거리-신구대학교역이 새로 생긴다.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이달 중 기업은행, 현대백화점, 신구대학교와 병기역명 판매 수의계약을 맺을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당초 2개 이상의 입찰기업이 경쟁하는 방식이었으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이들 기업들과 수의계약을 진행했다.
4호선 명동-정화예술대역, 5호선 서대문-강북삼성병원역, 2호선 방배-백석예술대역도 수의 계약한다.
역이름 판매 가격은 서울시가 매각공고에 낸 기준가격 선에서 결정된다. 압구정역은 3억1081만원, 명동역은 3억1818만원, 방배역 2억3860만원, 을지로입구역 3억4441만원, 서대문역 1억8771만원 등이다.
7호선 청담역 입찰에서 최고가를 낸 곳은 한국금거래소다. 우리들병원과 함께 2개 기관이 입찰했지만 공공성과 입찰가격 등을 고려해 한국금거래소가 선정됐다. 한국금거래소가 써낸 가격은 기준 가격인 2억7778만원보다 높은 3억6000만원이다.
기준가격이 높은 3·7호선 고속터미널역(5억1437만원)과 3·4호선 충무로역(4억6000만원), 2호선 역삼역(3억 8985만원)은 현재까지 입찰자가 없는 상황이다.
지난달 시행된 매각에서는 3호선 홍제역만이 서울문화예술대학교에 약 2억원에 입찰됐다.
지하철역명 판매는 기업, 학교, 주변기관의 요구에 의해 지하철 공사가 수익창출용으로 시행한 사업이다. 최고가격을 적어낸 곳은 3년간 역명 옆에 기관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지하철 안내방봉에서도 역명과 함께 나온다.
역 인근 500m 내 공익기관, 학교, 병원, 백화점, 아파트 등이 대상이다.
입찰 경쟁이 예상만큼 치열하진 않지만 서울시는 이번 사업이 지하철 공사의 재정에도 긍정적이라고 판단 확대할 계획이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카드, 다음달 11일 토크 콘서트 개최 (0) | 2016.05.23 |
---|---|
'관광버스'로 마비된 서울시, 해법은 무엇인가? (0) | 2016.05.19 |
벅스, 15일까지 신입사원 공채 1기 모집 (0) | 2016.05.04 |
LH, 미사 강변도시 근생용지 11필지 공급 (0) | 2016.05.03 |
"대기시간 줄이고 결제편의성 높이고" 외식 서비스 경쟁 치열 (0) | 2016.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