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관광버스'로 마비된 서울시, 해법은 무엇인가?

반응형

서울시 도심 도로에 불법 주·정차한 관광버스. 대로와 골목 가리지 않고 불법 주·정차가 이뤄지고 있다. /김성현기자

지금 서울 도심은 관광버스 세상이다. 중국관강객(유커)이 자주 찾는 서울 소공동·명동 일대의 교통은 혼잡 그 자체다. 불법 주정차는 다반사다. 주말이면 양 차선에 관광버스들이 줄지어 주차해 골목을 다 막아버린다. 단속, 주차비 지원 등의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지만 관광버스로 인한 교통불편은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18일 기자는 소공동 롯데백화점 앞에서 시청방면으로 우회전하는 과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4차선에 늘어선 관광버스로 우회전 차선으로 옮기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갑작스럽게 머리를 내민 버스로 인해 가슴을 쓸어내렸다. 영플라자에서 롯데백화점 본점 주차장으로 들어가는 골목에서는 구청 주차단속팀과 버스기사가 큰 목소리로 싸우고 있었다.

서울시가 공개한 '2014 차량통행속도'에 따르면 서울 시내 평균 차량 통행속도는 시속 25.7km이다. 도심은 8.3km가 느린 시속 17.4km를 기록했다. 명동, 종로, 동대문시장일대는 이 보다 더 느린 것으로 알려졌다.

경복궁, 명동, 동대문 일대에는 하루 700대 이상의 관광버스가 몰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주차공간을 찾지못하거나 이동이 불편한 기사들은 도로변이나 골목에 버스를 정차한다. 서울 도심 교통체증의 주요 원인이다.

◆관광버스 차벽으로 둘러싸인 서울도심

롯데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은 관광버스 기사에게 주차비를 현금으로 제공한다. 백화점 주변 불법 주차를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주차비를 받고 인근 주차장으로 향하는 버스는 보기 드물다. 모두가 백화점 앞이나 인근 도로에 정차해 둔다.

A여행사의 관광버스 기사 최모씨는 "관광객 쇼핑은 2시간 정도다. 가뜩이나 복잡한 서울시내에서 버스 이끌고 주차장 다녀오는 게 보통일이 아니다"며 "1만원 정도 주차비를 주면서 외곽 주차장으로 가라는 것은 터무니없는 요구다"라고 화를 냈다.

백화점 내 버스전용주차장이 빈 경우에도 이를 이용하지 않는다. 큰 버스를 이끌고 좁은 골목을 들어가 주차하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결국 면세점들이 지급하는 주차비는 관광버스 기사들의 호주머니로 들어갈 뿐이다.

단속도 어렵다. 중구청 주차단속팀 관계자는 "5분 이상 차를 도로에 세운 경우 차주가 있다 해도 단속대상이다"며 "본인이 차를 지키고 있는 상황에서는 강제력이 없는 구청 주차팀은 개도이상의 조치밖에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각 구청 주차단속팀은 경찰이 나서서 단속하지 않는 이상 단속은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버스 주차시설 부족도 문제다. 현재 잠실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은 70대, 용산 신라아이파크면세점은 100대의 주차공간을 확보해 놓았다. 반면 명동, 동대문, 종로 일대는 관광버스 주차 공간 확보가 쉽지 않은 상태다. 롯데백화점 본점의 경우 23대의 버스만 수용 가능하다.

중구청 관계자는 "서울시와 함께 남산 근처에 버스 전용 주차장을 설립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며 "주차시설과 함께 버스기사들의 인식도 개선되야 한다. 관광버스의 승하차를 위한 정류장을 만들어놔도 이용하는 기사가 없다"고 말했다.

◆투 트랙 정책으로 해결

서울시는 '과태료 인상'과 '주차공간 확대'라는 투 트랙으로 관광버스 차벽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다.

국내 불법주차 과태료는 4만원이다. 반면 도쿄, 오사카 등 도심에서도 불법 주·정차를 보기 힘든 일본은 최대 1만8000엔(한화 약18만원)의 과태료와 함께 벌점이 부과된다. 단속도 엄하게 이뤄진다. 불법 주차 단속에 강제력이 동원되기 때문이다. 차주가 차를 지키고 있다고 해서 단속을 봐주지 않는다.

서울시 주차관리과 관계자는 "현재는 실질적인 단속보다는 개도 차원의 단속만 이뤄지고 있다"며 "국회에서 과태료 인상, 주차단속 강화와 관련된 법을 제정해 준다면 지금보다 적극적인 단속이 가능하다. 개도효과도 뛰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인구 밀집지역의 주차공간 확보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서울역과 한남동 이태원에 관광버스 주차장을 조성중이다. 남산 인근에 버스전용 주차장 설립도 계획하고 있다. 종로구는 확보해 놓은 버스전용 실내 주차장의 진입로 문제를 해결 중이다.

중구청 관계자는 "관광버스 정차 문제는 구차원이 아닌 서울시가 총력을 다해야 하는 사안"이라며 "처벌강화와 함께 기사들이 이용하는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투 트랙 정책을 서울시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