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국민이 6일 국회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를 지켜봤다. 청문회가 시작한 지 한 시간 뒤인 오전 11시, 청문회를 생중계 한 방송 사이트에는 접속자가 폭주했다. 오마이TV는 3만2400명, JTBC는 2만1600명, YTN은 2만4900명,팩트TV는 1만5400명, 고발뉴스와 SBS 비디오머그는 3000명을 기록했다. KBS1은 실시간 시청률조사회사 에이티에이엠 분석에 따라 오전 10시 30분경 순간 시청률이 7.145%까지 올랐다. 뿐만 아니라 국회 의사일정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하는 웹페이지 '국회 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도 한때 서비스 장애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날 국정조사 청문회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롭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GS그룹 허창수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등 대기업 총수들이 출석했다. 그러나 증인으로 출석한 9대 기업 총수들은 여야 의원들의 대부분의 질문에 "잘 모르겠다"며 모르쇠로 일관해 빈축을 샀다. 삼성과 롯데 등이 미르재단에 지원한 이유와 그 과정에서 외압이 있었는지, 얼마를 지원했는지, 최순실의 존재를 아는지 등에 대한 질문에 '정확히 기억이 나질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재용 부회장 청문회에 출석에도 삼성전자 주가 상승'
외신도 국회 청문회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통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일본 니혼게이자신문 등 외신은 "한국 국회가 박근혜 대통령 측근인 최순실 국정 개입 의혹을 둘러싼 국정조사를 열고 대기업 재벌 총수 8명을 불렀다"고 소개했다. 특히,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이들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과 최순실 재단에 대한 각 기업의 기부액을 그래프로까지 표시하며, 한국에 수십 년간 뿌리 깊이 박혀온 정경유착 관행을 소개하기도 했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용 부회장 "삼성물산 합병 취소하고 싶어" (0) | 2016.12.06 |
---|---|
朴대통령, 이정현·정진석과 면담.."탄핵, 헌법 절차대로" (0) | 2016.12.06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경영권 넘길 수 있다" (0) | 2016.12.06 |
생필품 가격동향…당근·풋고추 오르고 배추·무 떨어져 (0) | 2016.12.06 |
국정조사 청문회, '삼성·SK·롯데' 중앙 좌석…집중적 질의 예상 (0) | 2016.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