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최양희 미래부 장관 "창조경제 첫 걸음은 SW 중심사회 구현"

반응형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본관 합동브리핑실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실현전략'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취임 후 첫 공식 브리핑 석상에서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 실현을 위한 전략 발표에 나섰다.

미래부의 핵심 정책인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첫 걸음으로 SW 중심사회 구현을 꼽은 것이다. 

최 장관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실현전략' 브리핑에서 "정부는 올해를 SW 중심사회 실현의 원년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이번 대책은 모든 부처가 힘을 합쳐 현 정부가 임기 끝까지 집중 관리해 나갈 창조경제의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최 장관이 SW 중심사회 실현을 최우선 목표로 내세운 것은 그의 이력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최 장관은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대학원에서 전자공학 석사, E.N.S.T. 대학원 전산학 박사 과정을 거쳐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를 지닌 인물이다. 그야말로 SW분야에서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애로사항을 정책에 반영할만한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SW 중심사회 실현전략' 보고를 통해 최 장관은 'SW산업' 자체에만 초점을 두고 내부 혁신에만 중점을 둔 것에서 벗어나 모든 산업 및 국가 전반에 SW를 확산하기 위한 모습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최 장관은 "휴대전화를 꺼내서 망치로 부숴보면 부품도 나오고 다양한 하드웨어 제품들이 나올 것"이라며 "하지만 이것을 조립해서 작동했을 때 제품을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부품이 아닌 그 무엇, 그것들 전부를 소프트웨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처럼 소프트웨어에 대한 광의적 해석이 필요하고 하드웨어나 서비스, 다른 분야에 융합하는 것들도 모두 소프트웨어로 봐야 한다"며 "지금까지는 소프트웨어라고 하면 아주 좁은 범위로 정의를 했기 때문에 한국은 소프트웨어 기업이 없다고 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우리가 하드웨어 기업이라고 얘기하는 곳들도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충분히 갖춘 곳들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이번 SW 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미래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췄다. 내년도 중학교 입학생부터 SW 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초등학교는 2017년, 고등학교는 2018년부터 정식으로 SW 교과목을 편성한다.

올 하반기에는 72개 초·중등학교를 SW교육시범학교로 지정하고, 내년에는 미래부·교육부가 공동으로 전국에 130개교 이상 확대할 예정이다.

우수인재 육성을 위해 사이버 영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도별로 소수 정예의 영재교육기관을 설립·운영하기로 했다.

대학에서는 졸업 후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을 목표로 '실전형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전공자 외의 학생들도 SW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소프트웨어 교육에 관련된 주요 사항은 구체적인 내용이 확정된 뒤 9월에 발표될 예정이다. 

이밖에 SW를 기반으로 한 산업 고도화와 'SW 제값 받기'를 위한 저작권 강화 방안도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