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 리볼빙 등 신용카드 대출잔액과 연체율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음달부터 금융당국의 금리 인하 유도에 각 카드사의 카드론·현금서비스의 금리가 2~4%포인트 인하될 예정이다. 대출 연체의 악순환이 개선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렸다.
22일 금융감독원 등 금융업계에 따르면 전업카드사의 카드론 연체율은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2.91%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말 2.63%보다 0.28%포인트 오른 것이다.
특히 2012년 말의 연체율은 전년 동기 대비 0.03%포인트 증가한 수준이었던 것에 비교하면 올 들어 연체율이 9배 넘게 급등했음을 알 수 있다.
이 기간 현금서비스 연체율은 3.42%로 지난해 말 3.24%에서 소폭 상승했다.
카드대출 잔액도 늘고 있다.
전업카드사의 카드론 대출잔액은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총 15조263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 14조328억원보다 1조2302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2012년 한해 동안 늘어난 카드론 대출잔액이 3510억원임을 감안하면, 올해 하반기에도 상반기와 마찬가지의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1년새 연체율이 7배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
리볼빙의 경우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용금액 중 일정 비율만 결제하면 나머지 액수는 대출 형태로 바뀌어 자동 연장되는 리볼빙 서비스의 연체율은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결제성 리볼빙' 1.15%, '대출성 리볼빙' 3.53%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보다 각각 0.13%포인트, 0.68%포인트 올랐다.
이 역시 지난해 말의 전년 동기 대비 상승폭(0.09%포인트, 0.22%포인트)을 넘어선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카드 대출잔액과 연체율 급등을 두고 저신용 가계들의 살림이 그만큼 어려워진 탓으로 해석했다.
다만 금융당국이 지난 4월 구성해 8월 발표한 '카드대출 금리체계 합리화 모범규준'이 다음달부터 적용되면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금리가 자연스럽게 2~4%포인트 내려가는 효과가 나면서 일반 가계의 숨통을 틔울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금리 인하에 대한 역효과로 저신용 가계가 고금리 사금융으로 밀려날 가능성을 우려한다. 하지만 카드업계 관계자는 "대출금리 합리화를 위한 모범규준을 세워 적용하는 것이므로 신용등급이 낮다고 대출에 제약을 받진 않는다"고 전했다.
김현정기자 hjkim1@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공에 그림 그린다…'테크플러스 2013' (0) | 2013.10.24 |
---|---|
모바일 쇼핑, 젊은층 '돋보기형'vs중년층 '망원경형' (0) | 2013.10.24 |
블랙아웃 막을 마법배터리 뜬다 (0) | 2013.10.24 |
블랙아웃 막을 '마법배터리' 뜬다 (0) | 2013.10.24 |
정몽구 현대차회장 유럽 경기회복 조짐에 "품질 고급화" 주문 (0) | 201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