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0%…14개월째 '동결'

반응형
▲ /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50%로 14개월 연속 동결했다.

한은은 10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한은은 지난해 5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이후 14개월 연속 동결을 유지했다. 

한은의 이번 결정은 시장의 예상과도 일치했다.

앞서 한국금융투자협회는 국내외 채권전문가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94.6%가 이달 기준금리(연 2.50%)가 동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6월 금통위 의사록이 공개된 이후 시장에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됐다"면서도 "국내외 경기지표가 꾸준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어 동결 가능성이 매우 클 것"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금리 변동은 박근혜 정부 2기 경제팀이 출범한 이후로 미뤄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주요 증권사들도 기준금리 동결론에 힘을 실어줬다.

김병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달에도 금리 인하가 이뤄지기는 어렵다"면서 현재 경제지표만 두고, 금리 인하를 강하게 추진하기는 힘들다"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한은이 4월 과도하게 높게 설정한 연간 성장률 전망치(4.0%)를 3.7% 내외로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이지만, 2분기 후 수출이 개선되고 있어 금리 인하를 강하게 추진할 상황은 아니다"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정부가 7월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하면 8~9월에는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했다. 

윤여삼 KDB대우증권 이코노미스트도 세월호 참사에 따른 소비·투자심리 위축을 근거로 들며 "한은은 보수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환율 하락 추세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마니쉬 레이차우드후리 BNP파리바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환율 하락과 경기 부진으로 한은이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전망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