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한은 "내년 물가목표 2.0%, 잠재성장률 3.0~3.2%"

반응형

한은 "내년 물가목표 2.0%, 잠재성장률 3.0~3.2%" 

한국은행은 2016∼2018년 중기 물가안정목표로 2.0%를 제시하고, 잠재성장률은 3.0∼3.2%로 추산된다고 16일 밝혔다. 

서영경 한은 부총재보는 "잠재성장률을 다양한 모형으로 추정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대 중반에서 2015∼2018년에는 3.0% 내지 3.2%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2년 김중수 전 한은 총재가 잠재성장률을 3.8% 수준이라고 밝힌 것과 비교하면 3년 만에 0.6∼0.8%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이전 처럼 5%대 이상의 높은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동시에, 대내외 경제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잠재성장률은 자본과 노동 등 사용할 수 있는 생산요소를 최대한 사용해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생산증가율을 말한다.

잠재성장률 저하는 한은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목표를 2%로 낮춘 배경이다.

2007∼2009년 소비자물가 목표는 3.0±0.5%, 2010∼2012년에는 3.0±1.0%로 설정했다. 2013~2015년은 2.5∼3.5%로 제시했다.

지난 10월 한은은 내년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3%에서 3.2%로 내리고,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2.8%에서 2.7%로 0.1% 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민간연구소가 제시한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는 2%대로 더 낮다.

LG경제연구원은 내년도 성장률을 2.7%를, 현대경제연구원은 2.8%를 예상했다.

해외 투자은행(IB) 상당수도 2%대 성장을 전망했다.

노무라증권은 한국의 내년 성장률이 수출 부진으로 2.5%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실장은 "한은이 물가안정목표를 크게 낮춘 데는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의 선진국형으로 바뀌는 추세라는 판단이 반영된 것"이라며 "앞으로 세계 경기의 회복세가 약하고 저물가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