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화폐 발행량 중 5만원권 비중이 처음으로 70%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1일 현재 5만원권의 발행잔액은 49조1000억원으로 5000원권, 1만원권 등을 포함한 전체 화폐발행 잔액(69조1000억원)의 71.0%를 차지했다.
2009년 처음으로 발행된 5만원권은 발행 첫해 비중이 전체 화폐량의 28.0%에 불과했지만 2010년 46.0%, 2011년 55.8%, 2012년 62.8%, 지난해 66.5%로 빠르게 상승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7월 67.6%, 8월 67.8%, 9월 68.4% 등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왔다.
이에 비해 1만원권 발행잔액 비중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2009년 전체 화폐 발행잔액의 65.7%였던 1만원권은 2011년에 39.2%로 5만원권보다 비중이 작아졌다. 2012년 32.5%, 지난해 29.2%, 올해 들어선 25.0%까지 비중이 떨어졌다.
5만원권 발행잔액이 빠르게 확대된 요인으로는 ▲거래 편의성 ▲경제규모 확대 ▲1만원권과 수표 대체 효과 등이 꼽힌다.
한은 관계자는 "고액권 화폐 수요가 증가하는 것은 주요국의 공통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50달러 이상 고액권 비중은 지난해말 83.4%였고, 유럽에선 50유로 이상인 화폐 비중이 90.4%에 달했다. 일본은 5000엔 이상인 화폐 비중이 95.1%다.
- 김민지 기자(minji@)
반응형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권, 'SKK' 전성시대 오나? …이순우, 김정태 이어 윤종규까지 3개 금융수장 성대 출신 (0) | 2014.10.27 |
---|---|
[단통법 기획 시리즈]경쟁 위해 제4이통 검토해야 (0) | 2014.10.27 |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 엣지 출시 초읽기…아이폰6 돌풍 잠재우나 (0) | 2014.10.27 |
경쟁 위해 제4이통 검토해야 (0) | 2014.10.27 |
[이슈진단] 현대증권 매각 일정 연기된 속사정은? (0) | 2014.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