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 제조R&D 로드맵의 10대 핵심 시나리오와 기술적용 사례. /미래부
[메트로신문 정문경기자] 정부가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 데이터 등을 포함한 8대 스마트 제조기술을 선정하고 2020년까지 4200억원 가량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 개개인이 원하는 사양이 적용된 맞춤형 자동차 생산기술 개발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난치병 신약 개발 등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이런 내용이 담긴 '스마트제조 연구개발(R&D) 중장기 로드맵'을 발표했다.
로드맵은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의 세부 추진과제인 '8대 스마트 제조기술'을 활용해 실제 제조업 현장에서 생산의 혁신을 불러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R&D 과제를 선정한 것이다.
8대 스마트 제조기술은 스마트센서, 가상물리시스템(CPS), 3차원(3D) 프린팅, 에너지 절감,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 데이터, 홀로그램 등을 가리킨다.
로드맵에 따르면 2020년까지 자동차 분야에서는 맞춤형 자동차 생산기술을 제조기술의 미래상으로 전망했다. 지금처럼 대량생산 방식을 통해 획일적으로 제조된 차가 아니라 수요자 개개인의 취향이나 요구에 특화된 맞춤형 차를 만들 것이란 얘기다.
화학 분야에서는 산업재해 사고 '제로'(0) 시대가 열리고, 통신 분야에서는 IoT 시대가 개막하면서 산업보안이 중요해질 것으로 점쳐졌다.
기계 분야에서는 인간과 로봇의 협업이 본격화되고, 전자 분야에선 생산설비의 이상징후를 미리 포착해 고장이 나기 전 수리하는 스마트 예방정비가 현실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패션 분야에선 패스트패션, 중공업 분야에선 산업단지 내 입주기업(공장)끼리 에너지를 공유해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에너지 낭비를 막는 기술, 전기 분야에선 전력 피크(정점) 스마트 관리가 제조업의 미래상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로드맵은 이런 제조업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R&D 과제로 스마트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과 철강 물류 스마트화, 클라우드를 활용한 산업정보 보호기술 및 전력 수요 관리시스템,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 딥(deep) 러닝 로봇 기술이나 신약 후보물질 탐색 등을 제시했다.
미래부와 산업부는 이런 기술개발을 통해 8대 기술의 경쟁력 수준을 17%포인트높이고(선진국 대비 71%→88%), 생산성 향상, 에너지 비용 절감, 제품 개발기간 단축 등을 달성해 2020년 제조업 4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로드맵은 이런 스마트 제조기술 개발에 앞으로 5년간 정부와 민간 부문을 합쳐 4161억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미래부와 산업부는 8대 기술 분야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 제조기술 인력 양성 방안'도 마련해 발표했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해피빈과 함께 ‘지식 나눔’ 캠페인 진행 (0) | 2015.12.11 |
---|---|
원자재 가격쇼크 주범 중국은 무엇을 하고 있나 (0) | 2015.12.11 |
한은 기준금리 1.5% 동결…배경과 전망은 (0) | 2015.12.11 |
[단독]일본 롯데, "롯데제과 경영에 간섭하지 않는다" 공식 입장 발표 (0) | 2015.12.11 |
외식업계 2015년 썸탔다 (0) | 2015.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