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금융비즈니스는 크게 증권, 보험, 은행, 카드 사업으로 구분됐다. 그 중 증권, 보험, 은행을 관통하는 것이 바로 '인터넷 전문'이라는 개념이다. '인터넷 전문'이란 개념은 언제 어디서나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금융비즈니스에서는 이를 통해 고객의 편의성과 혜택을 키우게 됐다.
특히 증권업에서는 온라인 증권사가 등장하면서 시장의 판도를 흔들어 놓았다. 온라인 증권사들은 저렴한 거래 수수료를 무기로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됐다. 이들의 등장으로 기존 증권사들의 수수료 기반 수익이 무너지면서 증권업 재편의 계기가 됐다.
은행과 보험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카카오은행과 케이뱅크 등 인터넷 전문은행의 등장이 예고됐고, 보험업에서는 다양한 다이렉트 보험들이 쏟아졌다. 영업 인력 감소를 통한 비용 절감으로 수수료를 낮출 수 있었고, 고객 편의성은 증대됐다.
카드는 비즈니스 특성상 '인터넷 전문'의 개념 진입이 어렵다. 결제라는 특수성 때문이다. 그런데 카드에서도 대변혁이 오고 있다.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등 간편결제 시스템의 등장이다. 결제 시스템이 모바일로 옮겨지며 간편결제 시장은 급성장을 했다.
무엇보다 금융 기업들이 주목할 점은 보험과 카드 부문에서 증권부문보다 '인터넷 전문'이란 개념의 영향력이 적었다는 것이다. 단순히 중개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얻는 증권업이나 은행업에서는 상대적으로 핀테크 기업의 침투가 쉬운 반면 업무의 전문성과 안정성이 필요한 보험 설계 등의 부문에선 핀테크 기업의 진입이 어렵다는 것은 놓치지 말아야 할 포인트다.
향후 핀테크와 금융비즈니스의 성패는 이런 특성을 얼마만큼 이해하고 전략을 짜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우진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소정의 메트로 밖 예술세계로] ③시대를 앞서간 포스코빌딩, 박태준의 결단 (0) | 2015.12.17 |
---|---|
한국자동차정비 공업사협동조합 카린 설립…차별화된 차량 정비 서비스 제공 (0) | 2015.12.17 |
[금융 사각지대를 없애라②] 장애인도 편한 금융환경, 언제쯤? (0) | 2015.12.17 |
中企 3곳 중 1곳 "의무 보고 행정부담 크다" (0) | 2015.12.17 |
SK주식회사 C&C 합병 후 첫 조직개편…ICT R&D센터 신설 (0) | 2015.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