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성장률

OECD, 韓 내년 성장률 '2.6%' 1년만에 1%p↓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을 2.6%로 낮췄다. 이는 지난 6월에 내놨던 3.0%에서 0.4%포인트(p) 하향 조정한 것이다. 특히 OECD는 1년만에 우리나라의 2017년 성장률을 1.0%p나 내렸다. 다만 올해 성장률은 2.7%로 지난 6월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했다. OECD는 28일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2.7%, 내년 2.6%로 각각 제시했다. OECD는 지난해 6월 한국의 2016년 성장률 전망치를 3.6%로 내놓은 뒤 그해 11월 3.1%, 올해 상반기 2.7%로 계속해서 내렸다가 하향조정을 멈췄다.OECD는 올해 세계 경제가 2.9% 성장하고 내년에는 0.4%포인트 높은 3.3% 성장할 것이라고 봤다. 미국은 올해 1.5%,.. 더보기
韓銀, 경제성장률 석달 만 또 하향 조정(2.8%→2.7%)…왜?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연합뉴스한국은행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2.8%→2.7%)으로 우리 경제는 지난해(2.6%)에 이어 2년 연속 2%대 성장에 그칠 전망이다. 이에 따른 저성장 국가로의 진입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14일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조정했다.이 총재는 "최근 수출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가계대출 급증, 가계소비·기업 투자 심리 저하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고 설명했다.◆수출부진+내수악화…악재 산재 한은이 석달 만에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것은 기업 구조조정, 브렉시트 등 대.. 더보기
<브렉시트>韓경제 충격..성장률(GDP) 0.4~0.5%P 둔화?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우려가 현실이됐다. 24일 원·달러 환율은 폭등하고, 코스피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했다.브렉시트가 현실화되면서 영국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나아가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 것으로 우려된다. 한-EU 자유무역협정(FTA)에서 영국이 빠지는 데 따른 손실도 우려된다. ◆GDP 0.4~0.5% 위축 전망 영국이 EU에서 발을 빼면서 한국 경제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24일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브렉시트가 현실화된다면 국내 GDP와 기업이익은 각각 0.4%포인트, 3.5%포인트 감소할 전망이다.브렉시트로 글로벌명목 GDP가 통화량 위축에 따라 2.5~3.0%포인트 하락할 것이란 전망에 근거한 것이다. 한국투자증권은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선진시장 실질 .. 더보기
"경기 회복되지만 하반기에나" 2013년 12월 16일 월요일 http://alpha.metroseoul.co.kr/pageflip/flipview.asp?rdate=metroseoul%2F20131216#3 더보기
한은, "내년 경제성장률 4.0%→3.8% 하향 조정(종합) 한국은행이 내년 경제성장률을 종전의 4.0%에서 3.8%으로 하향 조정했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2.8%로 그대로 유지했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10일 금융통화위원회 전체회의 직후 서울 소공동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 구조상 해외발 악재에 발목 잡힐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김 총재는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잡은 것도 사전에 예상해 이번 전망치를 분석하는 데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IMF는 지난 8일 '세계경제전망' 자료를 통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3.9%에서 3.7%로 0.2%포인트 낮춰 잡았다. 내년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은 이미 시장에서도 예상했던 결과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더보기
한국 성장률 아시아 꼴지 전망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아시아 주요국 최하위 수준으로 추락할 전망이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최근 발표한 '아시아 개발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2.8%로 예상했다. 이는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권의 국내총생산(GDP) 상위 11개국 가운데 싱가포르(2.6%)를 빼고는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중국은 8.2%로 가장 높고 인도네시아 6.4%, 필리핀 6.0%, 인도 6.0%, 말레이시아 5.3%, 베트남 5.2%, 태국 4.9%, 파키스탄 3.6%, 대만 3.5% 등 순이다. 이국명 기자 kmlee@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