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축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입장료 1만원 대학축제 공연 '암표'까지 등장 ▲ 연세대학교 학생들이 지난 16일 서울 서대문구 대학 노천극장에서 열린 응원전 '아카라카'에서 어깨를 걸고 응원하고 있다. /손진영기자 son@"쿵 쿵 쿵 쿵!" 커다란 스피커에서 울리는 음악 소리가 심장 박동을 재촉한다. 지난 16일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축제 현장을 찾았다. 오후 3시부터 시작된 연대 응원전 '아카라카'의 입장을 기다리는 관객들이 노천극장 앞으로 난 언덕길에 300m 이상 늘어서 있다. 학교를 상징하는 파란색 상의를 입고 영화 '스크림' 속 하얀 유령 가면을 쓴 학생, 페이스페인팅으로 한껏 멋을 부린 학생 등이 축제의 흥을 돋운다. 출입구 앞에서 친구를 기다리던 한 학생은 "입장권이 1만원에 유료로 판매되는데도 경쟁이 치열해 암표가 돌 정도"라고 혀를 내둘렀다. '15&' 'YB'.. 더보기 록페·콘서트 뺨치는 대학축제 '넥타이 부대' 북적 ▲ 지난 16일 서울 서대문구 홍익대학교에서 여대생 2명이 '버스킹'을 하고 있다. 이들은 "축제가 아니면 언제 이렇게 놀아볼까 싶어서 용기를 내 나왔다"고 말했다. /손진영기자 son@축제를 맞은 대학 캠퍼스가 술 냄새 대신 신명 나는 선율로 들썩이고 있다. 캠퍼스 곳곳에서 '버스킹(돈을 벌 목적으로 하는 길거리 연주나 공연)'이 펼쳐지고 술 대신 음료를 손에 쥔 학생들은 '아마추어 아티스트'를 둘러싸고 연신 추임새를 넣는다.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마지막 날 공연은 록 페스티벌이나 유명 가수의 콘서트를 뺨치는 수준이 된 지 오래다. 해당 대학 재학생들만의 잔치였던 대학 축제가 인근 주민은 물론 먼 거리의 직장인들까지 발품 팔아 찾아오는 나들이 코스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16일 찾은 홍익대학교 운동장. .. 더보기 요즘 대학 축제 술 대신 '예술'을 팝니다 ▲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동아리 오일(OILE) 회원이 지난 16일 서울 서대문구 교정에서 열린 프리마켓 '매미 프로젝트'에 참여, 판매할 부채에 그림을 그려넣고 있다. /손진영 기자 son@ 이맘 때면 불거지는 대학가의 음주 관련 사건·사고로 '술판 축제'에 대한 시선이 따갑다. 하지만 '주점'을 아예 금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각 대학 총학생회의 입장이다. 이들은 주점을 운영하되 음주 절제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또 다양한 대체 문화를 제시하며 자정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건국대학교 학생들이 지난 14일 서울 광진구 교정에서 축제 때만 개방되는 일감호에서 보트를 타며 사진을 찍고 있다. /건국대 제공 일부 대학에서는 '금주 축제'를 펼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실제 서울시립대학교 총학생회는 올 초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