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朴대통령 연이어 '깜짝 개각'..한광옥 비서실장ㆍ허원제 정무수석

반응형


한광옥, 17년 만에 청와대 복귀
김병준 "헌법 규정 총리 권한 100% 행사할 것"


▲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 준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3일 연이어 '깜짝 개각'을 전격 단행했다.

박 대통령은 전날 국무총리ㆍ경제부총리ㆍ국민안전처 장관에 김병준ㆍ임종룡ㆍ박승주 내정자를 발탁한 것에 이어 이날에도 신임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과 정무수석에 허원제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을 내정했다.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한 비서실장은 민주화와 국민화합을 위해 헌신해 온 분으로, 오랜 경륜과 다양한 경험은 물론 평생 신념으로 살아온 화해와 포용의 가치를 바탕으로 어려운 시기에 대통령을 국민적 시각에서 보좌하며 안정적으로 국정을 운영하는데 적임이라고 판단돼 발탁했다"며 이같은 내용의 청와대 참모 개각 내용을 발표했다.

정 대변인은 허 내정자에 대해서도 "허 신임 수석은 언론과 국회, 정부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고, 현 상황에서 국회 및 각계 각층과 긴밀하게 소통·협조할 수 있는 가교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특히 한 내정자는 김대중 정부시절에도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인물로 17년 만에 박 대통령의 비서실장으로 청와대에 입성하게 돼 눈길을 끌었다.

한편 김 총리 내정자는 이날 3일 삼청동 금융연수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무총리가 되면 헌법이 규정한 총리로서의 권한을 100% 행사하겠다"고 밝혔다. 

거국중립내각의 총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겠냐는 정치권의 비판을 인식한 발언으로 풀이되고 있다. 

그러면서 김 총리 내정자는 박 대통령과 지난 달 29일 만나 총리직을 제안받았으며, 이 자리에서 경제ㆍ사회 정책을 맡겨달라는 입장을 전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통령이 국민적 비판에 직면한 상황에서 국회와 여야 정당은 국정동력의 원천이고, 이 원천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지 못하면 국정의 불은 꺼지게 된다"면서, "개각을 포함해 모든 것을 국회 및 여야 정당과 협의할 것"이라 말했다. 

이어 그는 개헌 문제에 대해서도 "대통령이 주도하는 개헌은 옳지 않다고 본다. 국회와 여야 정당이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수사 필요성에 대해서는 "헌법규정을 두고 서로 다른 해석 있지만, 저는 수사와 조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라고 말하면서도, "다만, 국가원수인 만큼 절차와 방법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