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美금리인상]대기업들 강한 달러가 마냥 반가울까?..낙수효과 예전만 못해

반응형

인천지역에 있는 자동차 부품업체 A사. 트럼프가 백악관의 주인이 되면서 달러 약세를 예상, 달러당 1000원대 초반에서 경영전략을 짰다가 최근 다시수정했다. "미국이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선다면, 수익률 높은 달러 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믿어보기로 한 것이다.

원자재를 들여와 가공해 수출하는 B 업체의 재무관계자는 "환율이 1원 움직일 때마다 순이익이 많게는 수 억원에서 많게는 두 자릿수까지 왔다 갔다 한다"며 "지난날에는 환율이 오르면 큰 도움이 됐지만, 세계 경제가 침묵한 상황에서 큰 의미를 두기 힘들다"며 불안해 했다. 

트럼프가 달러 약세를 지향하는 반면 옐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14일(현지시간) 12월 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원·달러 환율이 요동치고 있다. 당장 달러값이 치솟고 있지만 기업들은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 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환율이 오른다 해도 예전처럼 수출 효과가 크지 않아서다.

문제는 한국 정부가 이런 흐름을 되돌릴 만한 명분도, 카드도 마땅치 않다는 데 있다. 외환 당국의 시장개입을 우려하는 선진국들의 견제 또한 만만치 않다.

◆ 원·달러 환율 어디로? 

시장에서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후 달러 강세에 베팅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한국투자증권 박정우 연구원은 "시장 예상보다 매파적인 금리 인상 전망으로 달러화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미국의 펀더멘털도 나쁘지 않기 때문에 이번에는 연준의 전망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그간 시장은 내년 연준이 2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고 대체로 예상해왔으나 연준 위원들은 앞으로 금리가 얼마나 오를지 개인적인 생각을 담은 표인 '점도표'를 통해 내년 3차례의 금리 인상이 단행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하이투자증권 서향미 연구원도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경계 강화는 달러화 강세를 자극하고, 신흥국 통화의 상대적 약세를 자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키움증권 홍춘욱 연구원은 "내년 초까지 달러 강세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규모개방경제(스몰 오픈 이코노미)인 한국 기업들은 떨어지는 원화값이 반갑다. 제품 가격경쟁력이 좋아서 환차익을 볼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무역연구원에서 내놓은 '미국수입시장에서의 한·일 및 한·중 수출경합도'에 따르면 2014년 한·일 경합도는 0.517을 기록하며 2010년 대비 0.08포인트 상승했다. 한·중 경합도는 0.346으로 같은 기간 0.06포인트 올랐다. 품목별로 한·일간은 자동차와 부품·기계류·의료정밀광학기기 등에서, 한·중간은 휴대전화와 부품·조선·전기전자제품 등에서 경합도가 높아졌다. 수출경합도란 양국의 수출상품 구조의 유사성 정도를 계량화한 것이다.

하지만 원화가치가 떨어진다고 마냥 좋아할 일만도 아니다. 환율이 롤러코스터를 탄다면 경영 전략을 수립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장기적으로는 중국 등 세계 경제 위축으로 수출 물량이 줄어드는 것을 걱정해야 한다.

수출기업들은 아예 전문 환관리 운용사와 내부 별도팀이 외환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과 물류, 어행업종에 진출한 기업들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골드만삭스는 "기업 구조조정, 세계경제 성장률과 수출의 상관관계 약화 등으로 실질기준 수출이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 국내은행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이 예상보다 가파르게 상승(원화가치 하락)한다면 외국계 은행들로부터 자금을 빌리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라면서 "내부적으로 금융시장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 환율관리 쉽지 않은 상황 

환율전쟁이라는 거대한 쓰나미를 한국경제가 견딜 수 있을까. 쉽지 않아보인다. 

미국은 지난 10월 '주요 교역 상대국의 환율 정책 보고서'에서 한국을 다시 '관찰대상국 (Monitoring List)'에 남겨뒀다. 

환율 정책 보고서는 미국 환율정책의 '슈퍼 301조'로 평가되는 '베닛·해치·카퍼(Bennet·Hatch·Carper·BHC)법'이 올해 2월부터 발효된 데 근거한 것이다. 핵심 취지는 통화가치를 끌어 내리는 환율개입(인위적 환율인상)을 수출 보조금을 준 것으로 보고 보복하겠다는 얘기다. 

지금껏 미국은 슈퍼 301조(포괄무역경쟁력법) 등을 동원해 세계 각국을 상대로 불공정 무역을 압박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 무역질서 속에서 힘의 논리에 따라 특정 국가의 환율정책에 족쇄를 채우려는 의도라고 해석한다.

원화가치가 지금보다 더 떨어져 외국인 엑소더스가 가팔라진다면 문제는 더 커진다. 외국인 투자자금의 이탈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내외금리 차가 줄어들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정책으로 대응해야 한다. 하지만 국내 기준금리를 올리면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부채의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어나 시장불안을 더욱 키울 공산이 커 한은의 고민 더 깊어 진다.

경험적으로도 별 재미를 보지 못했다. 

1996년~1997년 사이에 외환당국은 외화부채의 원화가치를 낮추기 위해 비싸게 사들인 막대한 달러를 시장에 풀었다. 이는 결국 97년 11월 국제통화기금(IMF)사태의 단초를 제공했다. 

2000년과 2001년에는 수출을 늘리기 위해 무리하게 환율 인상을 시도했지만 재미를 보지 못했다. 2003년과 2004년 사이에도 환율 인상을 위해 시장에 개입했지만 막대한 손실만 초래하는 참담한 결과를 겪었다.

이명박 정부때도 한차례 환율 폭풍에 홍역을 치렀다. 강만수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이 '낙수효과'를 이유로 시장에 개입한 것.

그러나 외환시장 개입에 나설 때 내 걸었던 낙수효과는 없었다. 일반 서민들은 물가 상승과 대기업 중심의 부의 편중, 확대되는 소득격차로 인해 오히려 심한 절망감을 느껴야 했다. 중소기업 또한 키코 사태로 인해 많은 도산의 아픔을 겪기도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