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를 들여와 가공해 수출하는 B 업체의 재무관계자는 "환율이 1원 움직일 때마다 순이익이 많게는 수 억원에서 많게는 두 자릿수까지 왔다 갔다 한다"며 "지난날에는 환율이 오르면 큰 도움이 됐지만, 세계 경제가 침묵한 상황에서 큰 의미를 두기 힘들다"며 불안해 했다.
문제는 한국 정부가 이런 흐름을 되돌릴 만한 명분도, 카드도 마땅치 않다는 데 있다. 외환 당국의 시장개입을 우려하는 선진국들의 견제 또한 만만치 않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후 달러 강세에 베팅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소규모개방경제(스몰 오픈 이코노미)인 한국 기업들은 떨어지는 원화값이 반갑다. 제품 가격경쟁력이 좋아서 환차익을 볼수 있기 때문이다.
수출기업들은 아예 전문 환관리 운용사와 내부 별도팀이 외환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과 물류, 어행업종에 진출한 기업들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골드만삭스는 "기업 구조조정, 세계경제 성장률과 수출의 상관관계 약화 등으로 실질기준 수출이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환율전쟁이라는 거대한 쓰나미를 한국경제가 견딜 수 있을까. 쉽지 않아보인다.
미국은 지난 10월 '주요 교역 상대국의 환율 정책 보고서'에서 한국을 다시 '관찰대상국 (Monitoring List)'에 남겨뒀다.
환율 정책 보고서는 미국 환율정책의 '슈퍼 301조'로 평가되는 '베닛·해치·카퍼(Bennet·Hatch·Carper·BHC)법'이 올해 2월부터 발효된 데 근거한 것이다. 핵심 취지는 통화가치를 끌어 내리는 환율개입(인위적 환율인상)을 수출 보조금을 준 것으로 보고 보복하겠다는 얘기다.
1996년~1997년 사이에 외환당국은 외화부채의 원화가치를 낮추기 위해 비싸게 사들인 막대한 달러를 시장에 풀었다. 이는 결국 97년 11월 국제통화기금(IMF)사태의 단초를 제공했다.
이명박 정부때도 한차례 환율 폭풍에 홍역을 치렀다. 강만수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이 '낙수효과'를 이유로 시장에 개입한 것.
그러나 외환시장 개입에 나설 때 내 걸었던 낙수효과는 없었다. 일반 서민들은 물가 상승과 대기업 중심의 부의 편중, 확대되는 소득격차로 인해 오히려 심한 절망감을 느껴야 했다. 중소기업 또한 키코 사태로 인해 많은 도산의 아픔을 겪기도 했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마블, 美 카밤 밴쿠버 스튜디오 인수 확정 (0) | 2016.12.20 |
---|---|
전작 스마트폰 재고떨이 나선 이통사…지원금 인상 경쟁 (0) | 2016.12.19 |
[美 금리인상]'부채절벽'오나 , 한국경제 부채 늪에 빠지면 회생 불가 (0) | 2016.12.15 |
금융개혁은 진행중?…시중은행, 이사회서 '성과연봉제' 도입 의결 (0) | 2016.12.12 |
스마트폰 한파…출고가 낮춰 불황 뚫는다 (0) | 2016.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