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與 비주류 고심 끝에 "탄핵 표결 참여"

반응형
▲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 등 비상시국위 대표자들이 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회의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비주류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가결을 위해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3당과 이른바 '탄핵 연대'를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비주류 의원들의 모임인 비상시국회의는 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총회를 열어 90여분 가량의 난상토론을 통해 박 대통령 탄핵안 표결에 참여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비상시국회의 대변인 격인 황영철 의원은 전했다.

황 의원은 "정치권의 논란과 상관 없이 '대통령은 즉시 퇴진하라'는 국민의 뜻이 한치의 흔들림도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여야의 합의가 없을 경우 9일 탄핵 표결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박 대통령이 비주류 의원들을 상대로 면담을 제안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아직 청와대에서 그런 요청이 없었고, 면담 요청이 오더라도 이 만남은 적절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라고 말했다.

이후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비주류 의원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내년 4월 퇴진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해도 오는 9일 탄핵 표결에 참여하겠다"면서 "대통령의 면담 요청이 있어도 만나지 않겠다"고 말했다.

앞서 비주류는 7일 오후 6시까지 '4월 퇴진-2선 후퇴'에 대한 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할 것을 촉구하면서, "박 대통령 스스로 '자진 4월 퇴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 탄핵은 필요없다"는 주장으로 쏠리는 듯했다.

하지만 지난 3일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촛불집회에 헌정 사상 최다 인원(주최측 추산 서울 170만·전국 232만명)이 운집해 '분노한 민심'을 표출하자 박 대통령 탄핵으로 급선회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야권이 탄핵안 가결에 '배수의 진'을 치며 압박하고 있는 상황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를 열고 탄핵안 표결에 총력을 집중시키고, 매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지금 가결 여부를 고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탄핵안을 발의한 순간부터 돌아갈 다리를 불사른 것"이라며 "이제 야당은 표결 말고는 다른 변수는 없다. 앞만 보고 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 앞으로 어떤 제안을 내놓더라도 협상의 여지는 이제 없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법률적으로도 탄핵을 발의한 순간 정족수가 미달하지 않는 한 표결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주류가 '탄핵 대오'를 이탈할 경우현재 박 대통령을 향한 '촛불'이 새누리당을 정조준할 수 있다는 부담도 크게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이렇듯 비주류가 박 대통령 탄핵으로 재차 선회하며 탄핵안 가결 가능성은 높아졌다. 

실제로 이날 회의에 참석한 29명 의원들은 탄핵에 찬성표를 던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야당·무소속 의원을 포함하면 가결 의족수인 200명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