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455억 달러, 수입 375억 달러로 무역 수지 80억 달러 흑자 기록
우리나라 11월 수출 실적이 3개월 만에 전년동기대비 증가로 전환했다.
이로 인해 삼성 갤럭시 노트 7 생산 중단과 자동차업체 파업 여파가 지속될까 우려하던 정부는 일단 한 숨을 돌리게 됐다.
수출액은 작년 같은 달보다 2.7%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11월 수출액 규모는 지난해 7월 이후 16개월 만에 최대치다.
수출물량도 지난 5월 이후 6개월만에 증가세를 기록했다.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3.5%였다.
선박을 제외한 일평균 수출도 17억5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4.0% 증가한 것으로 집계돼 지난해 2월 이후 21개월 만에 반등했다.
11월 수출에는 반도체 등 주력 품목이 제품 단가 상승 등으로 호조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11월보다 조업일수가 하루 늘어난 점도 이달 수출 회복세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7월 이후 최대 월 수출 실적인 32억8000만 달러를 기록한 석유화학의 증가 규모는 20.0%에 달했다. 작년보다 2.8% 증가한 석유제품은 27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평판디스플레이는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상승 등으로 18개월 만에 2.4% 증가세로 돌아섰다.
완성차 업체 파업이 끝난 자동차 수출도 전년보다 1.5% 늘어 17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됐다. 철강은 수출 단가가 오르면서 26개월 만에 10.8%라는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선박과 무선통신기기는 수출이 감소했다. 선박은 전년보다 36.8%나 감소했고 무선통신기기도 신형 스마트폰 단종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17.9% 줄었다.
해외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대(對)중국 수출은 올해 최고액인 117억 달러를 기록해 17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미국(3.9%), 일본(12.6%), 인도(12.6%) 등으로의 수출도 증가세로 전환됐고, 베트남(38.5%), 아세안(22.0%), 중동(11.1%) 수출도 증가세를 지속했다.
특히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9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여 전체 수출 증가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與 비주류 고심 끝에 "탄핵 표결 참여" (0) | 2016.12.05 |
---|---|
도도맘 김미나 집행유예, 판사 "반성하고 반복하지 말 것" (0) | 2016.12.02 |
박정희 생가 화재, 소방관계자 "재산 피해 경미" (0) | 2016.12.01 |
비주류-야권 공방, '탄핵 연대' 분열 조짐?..야권 내부도 '삐걱' (0) | 2016.12.01 |
윤석열 검사 수사팀장 파견, 표창원 "대한민국 사법정의" 재조명 (0) | 2016.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