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비주류-야권 공방, '탄핵 연대' 분열 조짐?..야권 내부도 '삐걱'

반응형
▲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1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동료 의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야권과 새누리당 비주류의 이른바 '탄핵 연대'가 분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우선 새누리당이 1일 의원총회에서 '내년 4월 퇴진·6월 대선'의 퇴진 로드맵을 만장일치 당론으로 채택하면서 탄핵안 처리를 위해 절대적인 새누리당 비주류 측의 협조를 기대할 수 없어 야권은 당혹스러워하는 모양새다.

야권은 새누리당 비주류의 협조를 통해 탄핵안 정족 의결수 200명을 충분히 채울 수 있다고 기대했지만, 새누리당이 당론을 결정하면서 탄핵안 가결이 사실상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다만 이날 오전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여의도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고 4월 30일 퇴임을 의총에서 의결하고 대통령의 '결단'이 없을 경우 9일 탄핵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힐 만큼 정국의 흐름에 따라 협상의 여지는 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탄핵 연대' 분열의 우려가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야권 내부에서 의견이 갈리고 있는 점이다. 

민주당 추미애·국민의당 박지원·정의당 심상정 야3당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탄핵안 일정 조율을 시도했지만 결국 '1일 발의 및 2일 본회의 표결'에 합의하지 못했다. 

추 대표와 심 대표는 '탄핵안 1일 발의 및 2일 본회의 표결'을 거듭 주장했지만, 박 위원장은 가결 가능성이 낮은 점을 들어 '9일 본회의 처리' 입장을 견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에 앞서 민주당은 이날 의총을 열고 기존의 '탄핵안 2일 국회 본회의 통과'를 당론으로 채택하고, 국민의당과 정의당에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정의당은 협조 의사를 밝혔다고 알려졌으나, 국민의당은 "비박이 선회한 상황에서 현실 가능성이 없다"며 거부하고 나섰다.

국민의당 이용호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민주당은 오늘 탄핵안을 발의하려고 하지만, 우리는 탄핵이 목적이지 발의가 목적이 아니다"며 "비박계 의원들이 적어도 7일까지 협상을 하고 안되면 9일에 탄핵하자는 입장이기 때문에 거의 안되는 것이 뻔하다. 우리는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어제에 이어 오늘도 (민주당에) 밝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치 우리가 안해서 발의가 안되는 것처럼 민주당이 덤터기를 띄운다면 야3당 공조에 도움이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도 기자간담회에서 "가결이 어느 정도 담보가 돼야지 부결될 걸 뻔히 알면서 발의하면 결과적으로 대통령에게 면죄부를 주고 국민만 혼란하게 하는 것"이라며 거부 입장을 내비쳤다.

결국 민주당·정의당·무소속 의원수는 134명으로 탄핵안 발의를 위한 의원수 151명에 17명이 부족한 상황이라 탄핵안 발의는 불발된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