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野, 탄핵안 의결 정족수 '200명 모으기' 혈안..비주류 연대ㆍ표결방식 등 '고심'

반응형
▲ 22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를 위한 긴급토론회'에 참석한 법조계 인사들과 여야 의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야권이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안 의결 정족수인 '200명 모으기'에 온 힘을 집중시키는 모양새다.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3당은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당론으로 확정하고 강공을 이어가고 있지만, 야3당의 의석수는 총 165석(민주당121석, 국민의당 38석, 정의당 6석)으로 무소속 7석을 더해도 의결 정족수에 28석이 모자란다.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면 강력히 추진 중인 박 대통령의 퇴진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고, 박 대통령과 여권에 면죄부를 주게 된다.

때문에 야권은 박 대통령의 퇴진·탈당을 주장하는 새누리당 비주류와의 연대도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다. 

비주류가 확실히 야권의 손을 들어주게 되면 모자란 28석을 넘어선 30~40명 선이 추가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일각에서는 지금의 새누리당 내홍은 주류와 비주류 간의 '당내 주도권 잡기'가 핵심인 만큼 대통령 탄핵 통과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렇듯 '정족수 모으기'가 녹록치 않자 민주당 지도부는 연일 박 대통령의 탄핵을 위한 '퇴진 전제'를 강조하면서 동시에 비주류 인사들을 향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22일 국립 서울 현충원에서 거행된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1주기 추모식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우선 박 대통령 퇴진이 전제돼야 총리도 국민이 바라는대로 국정의 중심에 서서 대통령의 퇴진과정을 집행하는 의미있는 총리로서 활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서, "현재와 같은 정치권의 논쟁만으로는 오히려 청와대가 이 국면에서 더 여유를 벌고 즐기지 않는가"라며 박 대통령의 '퇴진 전제'를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대통령이 검찰 공소장에 의해 국정농단 주범으로 표시된 가운데 새누리당도 정치집단으로서 아마 이 사태를 가볍게 볼 수 없는 것 같고 자유스럽지 않다"면서, "(비주류는) 더 머뭇거리다가는 범죄자 옹호 집단으로 정치생명마저 위태롭다는 걸 절박히 느끼는 것 같다"며 비주류와의 연대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어 추 대표는 "개개의 헌법기관으로서 국회로 넘어온 국정에 대해 역사 속에서 자기 이름 석자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스스로 깨달아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비주류와의 전방위적 개별 접촉도 시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오늘부터 모든 의원의 전방위적 접촉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의결 정족수 200명 확보를 위해 탄핵 소추안 표결 방식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김한정 의원은 '국민의 알권리 보장'이라는 명분으로 탄핵 소추안을 기명 투표로 진행하는 국회법 개정안을 발의하자는 주장을 했다.

대규모 촛불 집회가 이어지는 박 대통령을 향한 여론이 좋지 않은 만큼 기명 투표로 진행할 때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이 '찬성표'를 던질 가능성이 큰 것을 염두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박완주 원내수석부 대표는 "자기 당 대통령 탄핵이 쉽지 않다. 무기명이라 더 많이 할 수도 있다"며 반박하는 등 쉽사리 결정을 못 내리고 있는 상황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