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중의 갑'이라 불리며 군림해온 남양유업에 검찰이 들이닥쳤다.

남양유업 영업사원이 대리점주를 상대로 욕설과 막말을 한 '폭언 파문'이 일파만파 퍼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2일 검찰이 남양유업의 서울 남대문로 본사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한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서울중앙지검 측은 남양유업이 대리점주에게 자사 물품을 불법 강매한 의혹을 밝히기 위해 남양유업 본사와 지점 사무실 등 3곳에서 전산자료와 e-메일, 내부 보고서 등을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 검찰은 남양유업 홍원식 회장과 김웅 대표 등도 차례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앞서 남양유업의 대리점주들로 구성된 '남양유업 대리점 피해자협의회'는 "남양유업이 전산 데이터를 조작해 제품을 강매했다"고 주장하며 지난달 남양유업 고위 임원과 관계자 10여명을 검찰에 고소했다.

피해자협의회 측에 따르면 남양유업이 주문하지 않은 상품을 대리점주에 강제로 떠맡기는 속칭 '밀어내기' 방식은 상식을 넘어선다. 인터넷 발주 전산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조작해 주문량의 2∼3배에 이르는 물건을 떠넘기는가 하면, 유통기한이 며칠 남지 않아 팔지 못하는 제품을 대리점에 보내는 사례도 많았다.

또한 남양유업이 대리점 계약해지를 빌미로 명절마다 '떡값' 명목으로 대리점에서 현금을 받아갔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는 피해자협의회로부터 신고를 받아 진상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이후 불공정 거래행위나 불량식품 단속을 강화하고 있어 남양유업도 이번엔 검찰의 수사를 피해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오랜 관행으로 여겨져 온 대리점 강매는 최근 없어지고 있는 분위기이지만 남양유업만큼은 지금도 과도하고 세게 강매를 밀어붙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전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남양유업은 입장을 바꾸고 있다. 앞서 남양유업은 "일부 대리점의 일방적 주장"이라 일축하며 피해자협의회의 해당 대리점주들을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이어 대리점주도 지난 4월 맞고소해 법정 공방으로 번진 상태다.

그러나 6일 남양유업 관계자는 "검찰의 조사가 진행 중이라 선뜻 입장을 밝히기가 곤란하다"며 "일단 검찰의 수사결과를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소비자들의 불매운동 또한 가시화되고 있다. 6일 트위터·페이스북 등에는 "슈퍼 갑질의 최후를 보여주자" "남양유업 제품은 사지도 팔지도 맙시다" 등의 글이 수 천 건씩 올라왔고, '남양유업 폭언사건, 이참에 본때를 보여줍시다'라는 제목의 청원 운동까지 진행 중이다. 동네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에서 "남양유업 제품을 안 판다"고 공지한 사진도 속속 올라왔다.

◆"얄미운 짓만 골라한다" 업계서도 쓴소리

네티즌들은 '남양유업=악덕기업'이란 낙인까지 찍고 있다. 남양유업이 자사 신제품을 띄우기 위해 경쟁상품에 대해 노골적인 비방 광고까지 했던 행태를 거론하며 비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실제로 남양유업은 뒤늦게 커피믹스 시장에 뛰어든 뒤 경쟁사 제품에 들어간 카제인나트륨이 몸에 안 좋은 물질인 것처럼 광고해 식약처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았다. 또한 두유 신제품을 내놓으면서는 식품보조제인 소포제를 첨가하지 않았다고 광고를 냈는데, 당시 소포제를 사용하는 제조업체는 거의 없어 '노이즈 마케팅' '네거티브 마케팅'의 전형으로 꼽혔다. 이 때문에 남양유업은 동종업계로부터 "상도의를 무시하는 얄미운 짓만 골라해 '공공의 적'으로 통한다"는 쓴소리를 들어왔다.

이런 식으로 남양유업이 분유 외에 커피와 두유, 유제품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올린 매출은 지난해만 1조3650억원에 이른다.

"남양유업 때문에 빚지고 가정이 파탄났다"고 읍소하는 대리점주들의 시위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 1월부터 남양유업 본사 앞에서 시작된 시위는 명절에도 쉬지 않고 열렸으며 6일에도 이어졌다.

남양유업 대리점피해자협의회의 정승훈 총무는 6일 "남양의 막무가내식 거짓말이 가슴 아프다"면서 "욕설 파문을 낳은 음성 파일처럼 남양유업의 치부를 보여줄 사례가 더 있어 조만간 추가로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