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닮은 꼴' 정책 목표 삼은 박원순 시장·박성택 회장 만났다.

반응형
▲ '바른경제'를 정책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오른쪽)과 '경제민주화도시' 서울을 만들겠다는 박원순 시장이 8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만나 간담회를 하기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중기중앙회

'바른경제'를 추진하고 있는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과 '경제민주화도시' 서울을 만들겠다는 박원순 시장이 만났다. 

바른경제는 성장과 분배가 조화를 이루는 중소기업 중심의 지속가능한 경제구조를 말하는 것으로 지난해 초 취임한 박성택 회장의 의지에 따라 중기중앙회를 중심으로 중소기업계가 올 상반기 만든 어젠다다.

박원순 시장도 올해 2월 '경제민주화특별시 서울' 선언문을 통해 함께 사는 사회, 공정한 삶의 가치가 실현되는 '사람중심의 경제도시'를 만드는 것을 정책 방향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계는 대기업의 경제력 집중 완화, 중소기업 사업영역 보호 등 시장의 공정성을, 서울시는 골목상권 및 소상공인 자생력 강화, 중소기업 적합업종 보호·활성화 등을 통해 대·중소기업 상생을 각각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박 회장과 박 시장의 지향점은 크게 다르지않다.

야권의 대표적인 대선 후보와 중소기업계가 정책적으로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도 중소기업계는 정책적으론 야권을 지지해왔다. 하지만 선거때만되면 표심은 여권으로 기울었다. 지난 대선도 마찬가지였다. 중소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들 대부분이 보수적인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중기중앙회 주최로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열린 '서울시장 초청 간담회.' 장관급 시장과의 이날 간담회는 완전 오픈된 2층에서 진행됐다. 그동안 중기중앙회가 중앙부처 장관 등과 간담회를 할 때는 통상 5층 이사회회의실을 사용했었다. 

'닮은 꼴' 정책을 인식한 듯 박 회장과 박 시장은 포옹을 하며 화기애애하게 간담회를 시작했다. 

박 회장은 "박 시장께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입장과 현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중소기업들이)말하기 편하다. 특히 서울시 정책을 보면 (우리 입장에서)와닿는 것들이 많다. 실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과 관련해 서울시의 정책 모범사례를 지자체들도 많이 활용하고 있다"며 인사말을 건넸다.

서울시는 현재 과장급 직원을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내에 파견해 양측간 소통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박 시장은 "나라가 어려워졌다. 방향도 잃어버렸다. 이는 소수의 대기업이 자원과 기회를 독점하면서 대다수 기업과 국민들이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고용의 88%를 담당하는 중소기업이 어려워져 일자리가 줄고 국민들이 힘들어진 것"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최근엔 국정 운영도 위기상황을 초래하고 있는데 신체로 따지면 혈관 등 신경계통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이 위기를 잘 극복해야 국민들도 희망이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박 시장은 개성공단 폐쇄로 정점에 치닫은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건설업(을 하는 중소기업) 관계자들이 발주를 많이 부탁한다. 그러나 2700조원의 자원이 있는 북한, 러시아, 동북3성을 적극 활용해야한다. 한계상황에 처한 우리 중소기업들에게 30~50년간 풍요로운 미래를 보장하는 것이 정치가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박 시장은 서울시를 경제민주화 도시로 만들겠다는 자신의 생각에 대해선 '위코노미(Weconomy)'라는 단어를 언급하며 "우리(We) 모두를 위한 경제가 돼야 한다. 소수 몇 사람만을 위한 경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중소기업계는 박 시장에게 ▲용산전자단지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조성 ▲서울리츠 임대주택사업 공사용자재 직접구매제도 적용 ▲현대모비스의 부품대리점에 대한 부당 영업제한 해소 ▲청계천 공구상가 대체부지 조성 ▲인쇄산업개발진흥지구 지정과 인쇄박물관 건립 ▲서울시 대기오염배출시설 허용 조례기준 개선 ▲지하철역사 점포 입찰 소상공인 참여기회 확대 등 18건의 애로사항을 건의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