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삼성, 검찰조사서 "기금 내라는 청와대 지시 거절 어려워"

반응형
▲ 삼성그룹이 청와대의 압력에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을 결정했다는 진술을 검찰에 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합뉴스

삼성그룹이 경제정책을 좌우하는 청와대 경제수석의 압력에 기금 출연을 했다는 진술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르·K스포츠재단에 204억원을 출연한 것은 출연을 거부할 경우 정책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위협에 사실상 강제 모금을 당했다는 취지다. 

검찰은 11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비선 실세' 최순실(61)씨 등의 2차 공판에서 삼성 미래전략실 김모 전무의 진술조서를 공개했다. 조서에는 김 모 전무가 "우리는 자금 출연만 했지, 재단 설립 목적이나 운영은 크게 관심이 없었다"며 "우리가 주도하거나 자발적으로 설립한 게 아니라 전국경제인연합회를 통해 청와대로부터 지시받은 돈만 내면 된다고 생각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나왔다.

이 자리에서 김 전무는 "제가 아는 게 한류 확산, 문화 융성이라는 취지 정도여서 위에 보고할 게 없었다"며 "경제수석이 지시했고, VIP 관심사항이라는 걸 보고드렸기 때문에 모두 빨리 추진하라는 취지였다"고 말했다. 그는 "박찬호 전경련 전무에게 갑자기 연락이 와 일주일이 채 남지 않은 기간까지 재단을 만들어야 한다며 서둘렀다"면서 "청와대 경제수석 지시라는 게 가장 큰 이유였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 전무의 진술에 따르면 전경련 박 전무는 "경제수석실에서 연락이 왔는데 VIP께서 재단 설립이 왜 이리 더디냐고 나무랐다. 리커창 중국 총리의 방한 기간에 MOU를 맺기로 했는데 마땅한 재단이 없다고 한다"고 전달했다. 재단 설립을 리커창 총리 방한에 맞춰 서둘렀다는 검찰 공소사실에 부합하는 진술이다.

김 전무는 "만약 문화체육관광부 등에서 얘기했다면 전경련에서 크게 의미 두지 않았을 것"이라며 "경제수석이란 자리가 국가 경제정책을 좌우하는 위치라 기업들로서는 모금 지시를 거부하거나 반대 의견을 내기가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K스포츠재단에 대해서도 "설립취지나 사업 내용 등을 확인할 문건은 전혀 없었다. '문화' 대신 '스포츠'라고 말만 바꾼 것"이라고 밝혔다. 재단 이사진 구성 등을 알려주지 않았고 물어보려 하지도 않았다는 설명이다. 

당시 기금 모금에 대해 그는 "아무런 이의나 이견 없이 진행됐다"며 "안 전 수석이 막강한 영향력으로 전경련을 통해 일방적으로 지시한 거라 그 영향력 아래에 있는 기업들은 거절하기가 힘들었다"고 증언했다. 

검찰은 "기업으로서는 청와대로부터 불이익을 받을 걸 두려워해 출연할 수밖에 없었다고 진술하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x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