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 체제'가 친박(친박근혜)계를 '정조준'한 인적 쇄신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이정현 전 대표가 2일 전격 탈당을 선언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정치권에서는 이 전 대표의 탈당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통과에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이며 새누리당 변화에 일조하려 하는 것인지, 아니면 친박계의 '총알받이' 성격인지 해석이 분분하다.
이 전 대표는 이날 당에 탈당계를 제출하면서, "당 대표로서 모든 책임을 안고 탈당한다"며 "당의 화평을 기대하고 기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이 전 대표의 탈당은 표면적으로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과 당 분열에 대한 책임을 진다는 것이 명분이다.
앞서 인명진 비대위원장은 지난달 30일 "박근혜정부에서 당 대표, 정부 요직 등에 있으면서 대통령을 잘못 모신 책임자들은 자진 탈당해야 한다"며 친박계의 탈당을 요구해왔으며, 이날도 그는 "국민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보면 친박계 핵심 의원들을 명예롭게 물러나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아무 조건 없이 물러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인 비대위원장은 "만약 친박계 핵심 의원들이 물러나지 않고 그대로 당에 남아 있으면 탈당 명분을 찾고 있는 중도 성향의 의원들이 대거 당을 떠날 가능성이 크다"며 친박계 인사들을 몰아붙였다.
이처럼 비대위가 친박계의 탈당을 강하게 요구해 온 만큼 박근혜 대통령 '호위무사'를 자청해 온 이 전 대표의 결단은 새누리당의 혁신에 일조하려는 의지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반면 이 전 대표의 탈당은 친박계를 향한 비대위의 공격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있다.
비대위는 물론이고 정우택 원내대표까지 친박계를 중심으로 한 인적청산에 힘을 싣고 있는 상황에 대해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최경환 의원 등이 강하게 반발해 왔던 만큼 이 전 대표의 탈당 선에서 인적쇄신을 마무리 하자는 '메시지'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친박계 내부에서는 "(인적쇄신을) 인민재판식으로 하는 것은 정도가 아니다"·"인 위원장을 모셔온 것은 개혁을 하라는 것이지, 칼질을 하라고 모셔온 것은 아니다" 등의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친박계의 추가적인 탈당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비대위는 6일까지 친박계 의원들의 추가 탈당이 없을 경우 8일에 인 비대위원장이 해당 의원들에게 탈당을 요청할 가능성이 높아 인적쇄신을 둔 비대위와 친박계 간의 신경전은 치열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에어, 올해 첫 특가 항공권 진행…상반기 진마켓 오픈 예정 (0) | 2017.01.03 |
---|---|
올 기업환경 '울퉁불퉁'…당분간 생존모드 집중해야 (0) | 2017.01.03 |
JTBC 이가혁 기자 "정유라씨, 원래 귀국할 생각이었어요?" 취재 '공개' (0) | 2017.01.02 |
정유라 체포, 위증 의혹 이완영 '덴마크' 시찰? "국조 기간, 일주일 자리 비워" (0) | 2017.01.02 |
정유라 덴마크서 체포, 2015년생 아들도 확인 (0) | 2017.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