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 기업환경은 각종 대내외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 울퉁불퉁한 길, 즉 '범피로드(bumpy road)'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당분간 '생존모드'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해외 경제 기상도는 미국과 동남아시아가 '맑음', 중국과 중남미, 일본 등 나머지 지역은 모두 '비'가 올 것으로 관측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50여명의 경제·사회 전문가를 대상으로 '2017년 경제키워드·기업환경 전망'을 조사해 얻은 답이다.
3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올해의 주요 대외리스크로 미국 금리인상 후폭풍(69.2%·복수응답), 중국 경기둔화(57.7%), 보호무역주의 확산(46.2%), 북한·IS 위협(15.4%)을 꼽았다.
응답자의 76%는 "내년도 미국 연준 금리는 0.5%포인트(p) 이상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6.6%에서 6% 초반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이 다수(88.5%)였다.
해외 경제 전망은 미국·동남아만 '긍정적'이고 중국·중남미 등 모든 지역이 '부정적'으로 봤다.
건국대 권남훈 교수는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 부채증가에 대한 우려 속에서 전세계가 '돈줄죄기' 기조를 보인다"며 "높아지는 비관세장벽, 주력산업 공급과잉 등 대외 리스크 투성이의 범피로드"라고 진단했다.
국민대 안드레이 란코프 교수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세계 경제 질서를 예측할 수 없다"며 "수년간 본 적 없는 강력한 쓰나미의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기업 매출액과 관련해 응답자의 92.3%는 '작년과 비슷하거나 후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앙대 박창균 교수는 "대외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한 내부 동력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당분간 살아남는 것이 최대의 화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올해의 주요 사회 이슈로 사회 역동성 저하(고령화), 갈등조정 비용 증가, 사회안전망 부족 등을 꼽았다. 그리고 사회안전망 확충 노력을 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형곤 선임연구위원은 저소득층도 안정적으로 교육받는 시스템을 강조했다.
서울대 정혁 교수는 노동시장 유연성 확대·고용 안전망 구축이라는 '투 트랙' 복지구조로 산업구조조정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경제팀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과제로 구조개혁 추진(46.2%·복수응답), 산업구조조정(42.3%), 미래먹거리 발굴(15.4%), 민생안정(7.7%), 기업애로 해소(3.8%)를 꼽았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초중 무상급식예산 26억원 증액…인천 중등 무상급식 전면시행 (0) | 2017.01.03 |
---|---|
진에어, 올해 첫 특가 항공권 진행…상반기 진마켓 오픈 예정 (0) | 2017.01.03 |
시작부터 '불안한' 새누리당 인적쇄신..이정현 탈당, '혁신일조' vs '총알받이'? (0) | 2017.01.02 |
JTBC 이가혁 기자 "정유라씨, 원래 귀국할 생각이었어요?" 취재 '공개' (0) | 2017.01.02 |
정유라 체포, 위증 의혹 이완영 '덴마크' 시찰? "국조 기간, 일주일 자리 비워" (0) | 2017.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