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아르헨티나 금융위기설에 전 세계 휘청···국내 시장 파장은?

반응형

▲ 코스피 지수 하락/ 연합뉴스

아르헨티나에서 촉발된 신흥국의 금융 불안이 점차 확산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와 경제 전문가들은 신흥국가들의 시장 불안이 한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금융위기가 아시아 신흥국 전반으로 확대될 경우 한국 금융시장도 일정부분 영향권에 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 금융위기 우려로 이날 주가는 급락하고, 환율은 급등세를 나타냈다.

코스피지수는 개장 직후 1900선 아래로 급락하더니 1899.76까지 뚝 떨어졌다. 1900선이 무너진 것은 지난해 8월 28일(1884.52) 이후 5개월만에 처음이다. 지난 주말 아르헨티나의 금융위기 우려로 미국과 유럽 증시가 급락한 것이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후 하락폭을 줄여나간 코스피는 결국 전 거래일보다 1.56% 내린 1910.34으로 마감했다. 상승세로 출발한 원·달러 환율은 개장 이후 상승폭을 키워 전 거래일보다 7.3원 오른 달러당 1087.7원까지 올랐지만, 이후 상승폭을 줄여 1083.6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 "국내 영향 제한적…신흥국별 차별화 예상"

당국과 전문가들은 일단 아르헨티나발 금융 불안과 관련해 "국내 시장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신흥국 외환시장의 불안으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증시가 지난 24일 2% 안팎으로 급락했다"면서 "한국도 이런 시장 흐름을 일부 반영했다. 어느 정도 예상했던 수준"이라고 전했다.

HMC투자증권 이영원 연구원도 "신흥국 불안은 펀더멘털이 취약하고 정정불안이 부각된 나라들을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가장 높은 수준의 환율 절하를 기록한 아르헨티나의 경우 외환보유고의 급감이, 터키는 정치적 혼란이 결정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투자증권 이지형 연구원은 "국내 금융시장을 억누르고 있는 아르헨티나 통화 불안을 신흥국 외화위기로 확대 해석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미국 연준의 테이퍼링에 따라 신흥국 환율이 한 두차례 더 조정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의 연장선에서 판단해야 한다"며 "일시적 환율 상승을 신흥국 전반의 외환위기로까지 확장시켜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금융위기가 아시아 신흥국으로 확대될 경우 국내 수출에 대한 악영향은 불가피하다는 주장도 있다.

유진투자증권 박형중 연구원은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로의 수출 비중이 58%이고, 현재 문제국으로 꼽은 신흥국으로의 수출 비중도 20%를 넘는다"며 "현재 선진국 경기 회복에도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수입 수요가 크게 늘지 않는 상황에서 신흥국의 통화·금융 불안이 신흥국의 수입수요 감소와 경기둔화로 이어지면 한국의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 정부 "대내외 금융상황 모니터링 강화"

한편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치자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기재부 간부회의에서 신흥국 시장 불안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고 꼼꼼하게 챙기라고 당부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도 "시장이 불안하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등 불안 요인이 남아 있다"면서 "모니터링을 철저히 해서 막연한 불안감이 없도록 면밀히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