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무소속 의원의 상임위원회 배정 문제를 두고 '국회의 교섭단체 중심 운영'
구조에 대한 찬반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안 의원의 국회 입성 후 '새정치'의 첫 평가 무대에 올랐다는 평가도 나온다.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는 1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안 의원의 상임위 배정 문제에 대해 "식당에서 줄서
가지고 겨우 빈자리에 앉았는데 앞에 있는 사람이 갈비탕 먹었다고 해서 새로운 손님이 또 갈비탕 먹어야 되는 법은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노 공동대표는 이어 "앞에 있는 사람이 정무위 소속이었다고 해서 뒤에 누가 올지도 모르는데 그 지역에서 당선된 사람은 당연히
정무위원회에 가야 된다는 것은 너무 기계적인 배치방식"이라고 덧붙였다.
노 공동대표는 또 "국회 정무위원장을 누가 뽑느냐,
국회의원들이 뽑는데 그 여야 합의에 의해가지고 한명을 정해가지고 그 사람에 대한 찬반투표만 하고 있다"며 "원내교섭단체들의 어떤 횡포에 가까운
담합구조에서 파생된 측면이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여당 한 관계자는 "관례가 선례로 존중받는 것은 그만큼 합리적이기 때문
아니겠느냐"며 "모든 규칙을 깨는 것이 '새 정치'인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안 의원도 국회 안에서는 보궐선거로
입성한 초선의원일 뿐"이라며 "안 의원이 '교섭단체 중심의 국회 운영'이 불합리하다는 점을 증명하지 못 한다면 또 다른 특혜를 바란다는 비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안 의원은 4.24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후 현재까지 상임위를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안 의원은 국회 관례에 따라 서울 노원병의 옛 주인인 노 공동대표의 의원실과 상임위 등 모든 것을 물려받는다.
안
의원이 노 공동대표의 상임위였던 정무위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안랩 주식을 매각하거나 백지신탁해야한다. 안 의원은 이에 반대 뜻을 표하며
교육문화체육위원회 활동을 지망했다.
교문위 소속 의원들은 '상임위 정수가 다 찼다. 이미 배정된 비교섭단체 의원들도 전문성이 강해
교체가 쉽지 않을 것이다'며 안 의원 배정에 냉랭한 분위기다.
상임위 배정은 교섭단체의 합의에 따라 상임위 총 정수를 정하고
비교섭단체 의원 1~2명을 배정하는 것이 관례다.
의원의 상임위 사·보임은 교섭·비교섭단체 의원들 사이에서 주로 이뤄진다.
교섭단체 의원의 통큰 양보가 없는 한 사실상 안 의원의 교문위 소속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