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일 오후 국토교통부가 영남권 신공항 건설 계획 백지화를 발표하자 부산진구 부산상공회의소에 모인 가덕신공항추진 범시민운동본부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떠난 자리에 '규탄'이라는 카드가 남겨져 있다./뉴시스
- ▲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결과 신공항 건설 계획이 백지화된 21일 오후 대구 동구 대구상공회의소에서 강주열(앞줄 가운데) 남부권신공항 범시도민 추진위원장을 비롯한 소속 회원들이 용역결과 발표를 경청하며 허탈해 하고 있다./뉴시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20년 이상 계속된 영남권 갈등이 신공항 백지화로 극에 달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PK와 TK 간 갈등의 서막은 노태우 정권 말기 때인 1991년 3월 발생한 '낙동강 페놀오염' 사건이다. 당시 경북 구미에서 약 30톤의 페놀이 유출돼 낙동강을 오염시키면서 최대의 공해사건으로 기록됐다.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사용하며 평소 강 중·상류 TK 지역 공단에 대해 '피해의식'을 갖고 있던 PK 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극에 달했다.
당시 홍준표 경남지사는 경남은행 인수를 강행할 경우 은행에 넣어둔 금고를 빼겠다고 경고, 정부와 청와대에 정치적 결단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 같은 반발에도 경남은행은 BS금융그룹으로 넘어갔다. 부산에 대한 경남의 정서가 악화된 계기다.
MB정부는 당시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사업을 무산시켰지만 영남권 갈등을 우려한 정치적 결정이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참여정부의 공식 검토 이후 4년 3개월 만에 원점으로 회귀한 셈이다.
백지화된 신공항 유치는 대선을 앞두고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 대선 후보가 공약으로 내걸면서 촉발됐지만 정부는 21일 '김해공항 확장'이 최적이라는 결론이 났다. 영남권 신공항 건설의 필요성이 1990년 처음 제기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신공항 유치를 둘러싼 영남권 갈등이 26년 만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김해공항 확장이란 제3의 선택이 '상처뿐인 결론'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신공항 이슈가 완전히 소멸되지 않았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영남 지역을 기반으로 한 차기 대권 주자들이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
신공항 건설이 풀기 난해한 고차 방정식으로 격상한 것이다. 여야 모두 김해 공항 확장 결정을 반기면서도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항공 조종사 노조 둘러싼 논란 증폭 (0) | 2016.06.24 |
---|---|
與 "김해신공항 최선의 결론" vs 野 "공약 파기 사과해야" (0) | 2016.06.23 |
삼성중 구조조정 노협 반발거세…'직원들이 포기해야 할 복지 136가지' 루머 한몫 (0) | 2016.06.23 |
EU은행 대출 자금 엑소더스 땐 韓경제 걷잡을 수 없어 (0) | 2016.06.23 |
朴대통령 "김해공항 확장, 최선의 방안…최선다할 것" (0) | 201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