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교민과 유학생들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한국인의 필수 모바일 메신저로 자리잡은 카카오톡과 라인을 현지에서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카톡만 해도 인터넷만 연결되면 문자를 무제한으로 보낼 수 있고 사진이나 동영상 같은 제법 용량이 있는 파일도 공짜로 보낼 수 있어 요긴하다.
하지만 현지 거주 교포와 학생들은 1주일째 카톡과 라인을 원활하게 쓸 수 없는 상황이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9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서비스 불통은 이들 기업의 기술적인 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중국 정부에서 의도적으로 서비스를 제한하고 있다는 관측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한국과 중국이 최근 1주일 사이에 긴밀한 공조 체제를 유지했던가. 시진핑 주석의 방한이 있긴 했다. 그는 지난주 박근혜 대통령을 만나 ▲북핵 문제 강력 대응 ▲일본 침략 미화 공동 대처 등 굵직한 사안을 논의했다.
그런데 비슷한 시기에 야후나 마이크로소프트의 SNS 서비스도 차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즉 시진핑 주석의 방한이 불통의 원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에 해외언론에서는 중국의 고질병인 '언로 통제'를 지적하고 있다. 민심이 요동을 치더라도 초기에 언로를 차단하면 큰 사태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계산을 중국 정부가 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알고 보니 지난 1일 오후 홍콩에서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시작됐다. 홍콩은 사실상 중국 광둥성인 만큼 이번 시위가 전국으로 퍼질 가능성이 농후한 곳이다.
중국은 천안문 사태 발발 이후 시민의 집회나 시위에 아주 민감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서비스가 심심찮게 중국에서 끊기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같은 날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정부가 카톡, 라인을 불통시켰을 공산이 크다. 시위 확산을 막으려는 조치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보도가 사실일 경우 현지의 카톡, 라인 사용자의 불편은 계속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의 '자유 탄압'이라는 불똥이 글로벌시장을 목표로 야심차게 해외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국산 SNS 브랜드에 튀고 있다.
- 박성훈 기자(zen@)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파크 직원, 인피니트 콘서트 티켓 빼내 판매하려다 팬에게 덜미 (0) | 2014.07.09 |
---|---|
검찰, 홈쇼핑 거래 가장 카드깡 업자 4명 체포…NS홈쇼핑, 연루 부인 (0) | 2014.07.09 |
김명수 인사청문회 "뭐라고요?" "30초만 숨 쉴 시간달라" 코미디 (0) | 2014.07.09 |
전주대학교 수강신청 오늘부터 시작…"학번 끝자리 짝수인 재학생 서두르세요" (0) | 2014.07.09 |
효성가 자식들 이권다툼…조석래 회장 차남, 형·동생 고발 (0) | 201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