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규제개혁 끝장토론'(2014년 3월)을 통해 간편한 인터넷 금융서비스 대책 마련을 요구한지 2년 반이 지났다. 하지만 은행, 카드사는 물론 정부까지 보안과 사고책임에 대한 회피만 하며 여전히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은행·카드사들은 금융사고 발생 시 모든 책임을 기업이 지기 때문에 보안에 대해서는 간소화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보안프로그램 등이 있을 경우 책임을 보안사에 넘길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모든 책임을 기업이 뒤집어 써야 하기 때문이다.
미래부와 금융위원회는 이미 관련 제도는 마련해 놨지만 은행·카드사가 사고 책임을 지기 싫어하기 때문에 이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국내 인터넷 뱅킹이나 카드결제 시스템에 접속할 경우 'active x'를 통한 각종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적게는 3개에서 많게는 10개에 이르는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데만 다수 시간이 소요된다. 이후 공인인증서를 받는 과정에서 보안카드, 계좌비밀번호, 모바일 본인인증 절차를 거치면 이제야 인터넷뱅킹을 사용할 준비가 된 것이다.
active x 프로그램 자체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프로그램인 만큼 익스플로어 브라우저가 아닌 크롬 등을 사용하는 고객은 인터넷 금융서비스 자체가 이용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리눅스, mac 등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고객도 마찬가지다.
반면 미국의 경우는 아이디, 비번을 통해서만 인터넷뱅킹 이용 가능하며 active x 설치도 의무가 아니다. 캐나다는 비밀번호만으로 인터넷 뱅킹이 가능한 곳도 있다.
홍콩 최대의 금융사 HSBC의 경우도 듀얼 패스워드와 OPT를 통해서 인터넷뱅킹이 가능하다. 다른 보안프로그램을 요구하지 않으며 모든 종류의 브라우저에서 인터넷뱅킹을 이용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의 카드결제의 경우는 '페이팔'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가입 시 신용카드를 등록만 하면 이후 아이디 비번만으로 인터넷 결제가 가능하다.
보안 전문가들은 "전세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active x를 통한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유독 한국만 고집한다"고 말한다.
이에 금융사측은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이러한 보안 과정을 간소화 시킬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단 한건의 금융사고가 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보안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보수적"이라며 "박 대통령의 간편 결제 요구 이후 금융위가 보안프로그램을 간소화 할 수 있다고 통보했으나 사실상 따르는 은행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융사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는 금융사고가 나면 고객책임 또는 기업책임 둘 중 하나로만 규정한다"며 "근본적인 해킹사고에 대해서는 수사가 미진하다. 책임자만 찾으면서 보완은 완화하라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고 불만을 토했다.
김 교수는 "한국은 작은 사고만 나도 그걸 확대하는 경향이 있다. 마치 보안에 큰 일이 난 것 처럼 야단법석이다. 당연히 업체들은 보안 강화에만 신경을 쓴다"며 "외국은 사고 유형에 따라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그래서 공인인증서나 active x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것이 페이팔이다. 페이팔의 사고율은 1%, 공인인증서는 0%다.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것만 사용하는 것이 문제"라고 덧붙였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벽을 여는 사람들] 급증하는 제주도 관광객 렌터카 이용 차질없도록 발로 뛰는 롯데렌터카 (0) | 2016.08.30 |
---|---|
전경련 "산업용 전기를 원가 이하로 쓰고 있다구요?" (0) | 2016.08.25 |
2016 국제 운송 · 물류 혁신포럼 (0) | 2016.08.19 |
삼성 금융계열사 컨소시엄, 독일 코메르츠방크 타워 인수 (0) | 2016.08.12 |
서울시향, '광복 71주년 기념 음악회' 15일 서울광장서 개최 (0) | 2016.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