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해적활동은 1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선원 납치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전 세계 해적사고는 총 191건으로 202건이 발생한 199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5년의 246건과 비교하면 22.4% 감소한 수준으로 말라카·싱가포르 해협,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해역에서 발생한 해적사고는 101건으로 2015년의 절반으로 줄었다.
이는 연안국이 순찰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해적퇴치 활동을 벌인 성과로 평가된다.
다만 서아프리카 해역에서는 지난해 56건의 해적공격이 일어나 2015년 31건 보다 80.6% 증가했다.
특히 나이지리아 기니만 인근 해역에서는 석방금을 노리고 선원을 납치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인근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들이 각별히 주의해야 할 것으로보인다.
또 소말리아 해역에서는 연합 해군과 민간 무장요원의 감시활동에 힘입어 2015년에는 해적공격이 단 한 건도 없었으나 작년에 2건의 공격이 발생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소말리아 해적이 활동을 재개한 것으로 분석했다.
전체 해적사고 발생 건수는 줄었으나 선원을 납치해 석방금을 요구한 사례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선원 납치 사례는 총 62건으로 2015년 19건 보다 326%나 늘어 최근 10년간 최대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와 관련해서는 최근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남동방 해상에서 국적 화물선이 해적의 공격을 받아 선원 2명이 피랍돼 87일 만에 석방금을 지불하고 석방됐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선박이 자주 통항하는 필리핀 남서부 Sulu Sea 인근에서도 무장해적(Abu Sayyaf Group)에 의한 해적공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성용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관리과장은 "최근 해적 공격 발생 건수는 전체적으로 감소했지만 석방금을 노린 선원 납치는 오히려 증가하는 등 해적 피해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위험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은 우회 통항, 해적 경계 당직 강화 등 피해 예방 조치를 철저히 이행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40 맞벌이 부족한 노후 자금은 얼마? (0) | 2017.02.09 |
---|---|
개점 강행 코스트코 송도점, 사업조정제도도 결국 '솜방망이' (0) | 2017.02.09 |
평창올림픽 'D-365' 카운트다운 시작됐다 (0) | 2017.02.08 |
CJ CGV "좌석차등제, 고객 제한한다고 생각하지 않아" (0) | 2017.02.08 |
헌재, '더블루K'와 朴 대통령 관계 집중...'핵심증인' 고영태 연락두절 (0) | 2017.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