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교육 등의 사회 복지 예산은 증가한 반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은 2년 연속 삭감되고 연구·개발(R&D) 예산은 소폭 증가에 그치는 등 경제 분야 예산은 다소 위축된 모양새다.
정부는 30일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7년도 예산안을 확정, 발표하고 내달 2일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정부가 이날 발표한 내년도 예산안의 총 규모는 400조7000억원이다. 올해 편성된 예산(386조4000억원) 대비 증가율은 3.7%(14조3000억원)다. 총지출 증가율은 2013년 5.1%, 2014년 4%, 2015년 5.5% 등이었다.
정부가 밝힌 내년 예산안의 편성은 일자리 창출, 미래성장동력 확충 및 경제활력 제고, 저출산 극복 등을 통한 민생안정, 국민생활환경 개선과 치안 강화를 통한 국민 안심사회 구현 등에 방점이 찍힌다. 12개 세부 분야 가운데 보건·복지·노동(5.3%) 등 9개 분야 예산이 증가했고 SOC와 산업, 외교·통일 등 3개 분야는 감소했다.
특히 보건과 노동을 포함한 복지 예산은 일자리 창출과 맞춤형 복지 확대, 복지·의료사각지대 해소 등으로 사상 처음으로 130조원으로 불어났다. 복지 예산 비중은 32.4%로 사상 최대다. 일자리 예산은 17조5000억원으로 이 중 청년 일자리에 예산 2조7000억원이 배정됐다.
정부의 문화융성 기조에 따라 문화·체육·관광 예산(7조1000억원)은 6.9% 늘어나 7조원을 돌파했다. 북핵·미사일 위협 등에 대비해 국방력을 강화하고 병영환경 개선을 추진하면서 국방 예산(40조3000억원) 역시 4% 증가해 처음으로 40조원을 넘겼다.
한편 정부는 내년 총수입을 올해보다 6%(23조3000억원) 증가한 414조5000억원으로 전망했다. 이는 내년 실질 경제성장률을 3.0%, 경상성장률은 4.1%로 잡고 예측한 세수다.
기획재정부의 박춘섭 예산실장은 "내년 총지출 증가율 3.7%는 중기재정운용계획상 2.7%보다 1%포인트 늘린 것으로 재정건전성을 지키는 선에서 최대한 확장적으로 편성했다"고 말했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동강 맥주'보다 못하다고?…한국 맥주 수출 연일 최고치 갱신 (0) | 2016.09.07 |
---|---|
대우조선해양, 선박 건조대금 조기 입금으로 유동성 위기 해결 (0) | 2016.09.06 |
금호타이어 매각작업 내달 본격화…금호그룹 "인수를 위해 준비하던 대로 진행" (0) | 2016.08.31 |
여기어때 '혁신 프로젝트', 디지털경영혁신대상서 미래부 장관상 수상 (0) | 2016.08.30 |
주택공급 한풀 꺾여… 7월 인허가 전년比 25.9% 감소 (0) | 2016.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