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최양희 "대한민국을 창조국가로…10년 뒤 세계가 벤치마킹 할 것"

반응형
▲ 최양희 신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최양희 신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16일 "10년 뒤 세계가 대한민국을 창조국가로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드러냈다.

최양희 장관은 이날 오전 과천 정부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미래부 장관으로서 틀을 깨는 과감한 시도를 하려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미래부의 비전과 사명을 명확히 하고세부 추진계획도 다시 살피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특히 ▲'창의와 도전'의 창조경제 확산 ▲'융합'을 통해 창조경제 역동성 제고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의 '혁신'을 통한 창조경제 기반 강화 등을 제시했다. 

최 장관은 "창조경제의 꽃을 피우는 것은 결국 민간의 몫"이라며 "민간의 자율과 창의의 씨앗이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우는데 방해가 되는 규제들을 과감히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은 이제 각각이 아니다"라며 "융합으로 연결된 새로운 창조경제 생태계를 구축해 창조경제 실현을 앞당기겠다"고 덧붙였다.

융합을 통한 창조경제 생태계 구축과 관련, 소프트웨어를 핵심으로 제시했다.

그는 "어려서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갖춘 창조적 인재를 양성해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앞당기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과학기술과 ICT간 혁신으로는 ▲정부 출연연구기관과 대학 혁신 ▲세계 최고 수준의 ICT인프라를 창조경제플랫폼으로 혁신 ▲초연결 사회 선도국가 조성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클라우드 등 인터넷 기반 신산업 육성 ▲우편·금융서비스 혁신 등을 제시했다. 

최 장관은 미래부 직원들에게도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의 과학기술은 ICT 역량은 여러분의 땀과 노력이 있기에 가능했다"며 "앞으로 창조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착, 확산하는 데도 여러분의 열정과 패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창조경제와 미래부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는 우리 스스로 느끼는 것보다 훨씬 냉엄하다"며 "'몸이 곧은 데 그림자가 굽을 리 없다'는 말처럼 우리가 아무리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해도 국민의 눈에 비친 성적표가 미흡하다면 우리 스스로 더욱 분발해야 한다"고 전했다. 

끝으로 그는 "그동안 추진해온 정책의 일관성은 유지하면서 지난 1년여 간 미래부가 해왔던 일을 엄정하게 돌아보고 부족한 점은 보완해 국민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겠다"면서 "소통과 개방을 중시하는 열린 창조마인드와 창조문화를 확산하는 데도 미래부가 최일선에 서겠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