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태안 실종고교생 사고 원인 눈길 …'막을 수 있었는데...'

반응형
 
 
물놀이하던 고등학생 5명이 실종되는 해병대캠프 사고원인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충남 태안군 안면도의 사설 해병대 훈련 캠프 고교생 5명 실종사건과 관련, 캠프가 마련된 백사장해수욕장 앞바다는 물살이 거세 해양경찰이 수영하지 말도록 계도 중인 곳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 당시 공주사대부고 학생은 모두 80명이 교관의 지시에 따라 구명조끼를 벗은 채 물놀이하던 중 23명이 파도에 휩쓸렸으며 이중 18명만 구조됐다.

황준현 태안해양경찰서장은 19일 사고 현장인 백사장해수욕장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캠프 교관이 학생들에게 구명조끼를 벗고 물놀이를 하도록 한 경위를 포함해 캠프 교육프로그램의 위법 여부를 검증하는 데 수사를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서장은 "사고 해역은 노가 달린 보트를 타는 것 외에 수영해서는 안 되는 곳"이라며 "캠프 교관과 인솔교사 등을 상대로 전반적인 과실 여부를 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사고 경위와 관련해 그는 "학생과 교관들의 진술로 미뤄 학생들이 갯벌 내 물이 빠지면 생기는 깊은 웅덩이인 '갯골'에 빠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캠프 교관들의 수상레저 자격증 소유 여부도 논란이 되고 있다 .

해당 교관 32명 중 인명구조사 자격증 소지자는 5명, 1급 수상레저 자격면허 소지자 5명, 2급 수상레저 자격면허 소지자 3명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일부 교관은 정규직이 아닌 아르바이트직이었던 사실도 밝혀졌다.

이에 해경은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수사과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수사본부를 설치해 사고 경위와 원인을 집중 수사키로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