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가 가파르게 절상되면서 원화 강세 수혜주에 대한 관심이 덩달아 커지고
있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이후 이달 23일까지 원화는 달러화에 비해 6.4% 절상됐다.
원화의
미국 달러화에 대한 절상률은 세계 주요 통화 가운데 가장 컸다.
서구 선진국 통화들은 영국 파운드화(4.9%), 유로화(3.5%),
호주 달러화(1.7%) 등의 절상폭을 기록했고 신흥국들은 대만(1.6%), 싱가포르(1.2%), 중국(0.4%) 등으로
조사됐다.
최근 외환위기 위험에 노출된 신흥국들인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경우 각각 13.3%, 4.8% 절하됐다.
특히
원화는 유일하게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연기 소식이 나온 이후인 7~9월 석달 동안 꾸준히 강세를 보였다.
증시 전문가들은 당분간
원화 강세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박형중 유진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미국 양적완화 축소가 시작되기까지 아직 시간이
남아있고 중국경기 지표도 개선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원화 강세 수혜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증권사들은 잇따라 한국전력을 가장 유망한 종목으로 꼽았다.
유덕상 동부증권 연구원은 "한국전력의 세전이익은
환율이 10원 하락할 때마다 연간 기준 2900억원 개선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환 변동에 따라 실적이 크게 변하는 이유는 환 헤지를 하지
않고 환 노출 금액도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유 연구원은 "한국전력이 지난 10년 넘게 원·달러 환율과 동조화 현상을 보였는데
이번에도 그럴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 2분기 말을 기점으로 원화 강세가 지속되는 상황 자체가 (한전으로선) 긍정적인 신호"라고
덧붙였다.
내수 음식료 업종인 대상, CJ제일제당과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주, 현대제철 등도 원화 강세
수혜주로 거론됐다./김현정기자
hjkim1@metroseoul.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