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60~70대 은퇴가구 대부분이 가계수입이 크게 줄어든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2012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토대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은퇴자 가구는 60대 전후와 70대 전후 두 차례에 걸쳐 가계수입이 크게 축소되는 '이중 추락'을 경험했다.
60대 가구의 평균 수입(282만원)은 50대 가구(441만원)에 비해 36% 하락했다. 70대 이상의 수입(154만원)은 60대에 비해 다시 절반에 가까운 45%나 감소했다. 중산층 가구의 가계수입은 더욱 가파르게 축소돼 50대 가구 384만원 → 60대 가구 215만원 → 70대 가구 95만원으로 각각 44%, 56% 줄었다.
은퇴자 가구는 가계수입의 양극화도 심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자 가구 상위 20%의 평균수입은 하위 20%의 14.6배로 집계됐다. 이는 50대 가구(7.3배)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연구소는 이 같은 '이중 추락'과 양극화 원인으로 '일자리의 질'과 '일자리의 유무'를 지목했다. 우선 60대 가구주의 일자리 질에 큰 영향을 받았다. 60대 가구주의 취업률은 63%로, 50대(89%)에 비해 큰 폭으로 줄었다. 고용형태도 임시·일용직 비중이 컸다.
연령대가 70대를 넘어서면 취업률은 29%로 급감하고, 그 중 절반(15%)은 임시·일용직에 머물러 은퇴자 가계수입의 2차 추락으로 이어졌다. 은퇴자 가구의 소득계층이 낮아질수록 미취업과 임시·일용직 비중이 증가했는데, 이는 연금과 충분한 수입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구소 관계자는 "수입 상위 20%를 제외한 나머지 계층에서 70대 전후 가계수입이 크게 하락했다"면서 "이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제공과 연금화 전략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민지 기자 minji@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 5장 중 1장꼴 '장롱카드' 2357만장 (0) | 2013.09.11 |
---|---|
8월 가계대출 3조6천억원↑..여름휴가 탓 (0) | 2013.09.11 |
애플, 유료 프로그램 제한적 무료전환…'애플 키노트·아이포토·아이무비 등' (0) | 2013.09.11 |
SK브로드밴드, UHD 방송 시장 합류…"2015년 상용화 나선다" (0) | 2013.09.11 |
[알짜기업 탐방] 벤처 1세대, 셋톱박스 1위기업 휴맥스 (0) | 201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