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ICT가 스마트폰·TV를 새롭게 진화시킨다(종합)

반응형
▲ 사진제공=SK텔레콤

# A씨는 피자를 시켜먹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해 ○○피자로 전화를 걸었다. 상담원이 연결되자 A씨는 상담원의 안내에 따라 통화를 하며 스마트폰 화면에 뜬 메뉴를 확인하고, 할인 및 결제도 손쉽게 스마트폰으로 해결했다. 그간 PC를 통해 홈페이지에서 메뉴를 확인하고 전화로 주문하던 번거로움이 스마트폰 하나로 손쉽게 해결됐다.

# B씨는 최근 주위로부터 스미싱 피해 소식을 접하고,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오면 받지 않는다. 하지만 이 때문에 얼마전 B씨는 중요 거래처로부터 걸려온 연락을 받지 않았다 낭패를 볼 뻔한 상황도 처했다. 하지만 B씨는 'T전화'를 사용하며 이 같은 고민이 해결됐다. 고객평가 기반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DB)가 어떤 목적으로 건 전화인지 알려주기 때문이다.

# 아침에 일어나 TV를 켜자 오늘의 날씨는 물론, 회사까지의 출근길 교통정보, 주요 뉴스기사를 자동으로 알려준다. 멀리 사는 부모님께 TV 영상통화나 사진 전송을 통해 아이들의 소식을 전할 수 있고, 집을 비울 경우 감시카메라처럼 집을 지켜준다. 이 모든 것이 TV 셋톱박스 하나로 실현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스마트폰과 TV를 새롭게 진화시키고 있다. SK텔레콤은 23일 서울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세계 이동통신사 최초로 선보이는 All-IP 기반 차세대 통화 플랫폼 'T전화' ▲단순 TV를 넘어 '스마트 홈' 기능까지 제공하는 홈 허브(HUB) 기기 'B박스(B box)'를 공개했다.

우선 T전화를 이용하면 필요한 정보를 스마트폰이 알아서 알려준다. 대표적인 것이 전화번호. 보통 휴대전화에 저장되지 않은 특정 점포나 기관의 전화번호는 인터넷에서 검색하거나 114 전화번호안내 등을 통해야만 확인이 가능했다. 그러나 T전화를 이용할 경우 약 100만개의 번호를 바로 찾을 수 있다.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복합측위기술을 적용해 현재 이용자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순서로 검색결과를 보여주며 업체 홈페이지, 지도 등 관련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또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 누가 어떤 목적으로 전화했는지도 손쉽게 알 수 있다. 동일한 업체로부터 같은 전화를 받았던 사람들과 번호 정보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수신 화면에 '○○은행, 카드가입 권유', 'XX 보험, 가입 안내' 등이 표시되고 하단에는 '싫어요, 괜찮아요' 등의 메뉴가 배치돼 이용자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한 스미싱, 피싱, 스팸 차단이 가능하다.

아울러 자신의 요금제 확인 기능도 기본 탑재돼 'T전화' 내에서 자신의 음성통화 및 데이터 잔여량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스스로 통화량 및 데이터 이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알뜰한 통신 서비스 활용이 가능해진다.

B박스는 홈 미디어와 홈 서비스를 결합해 ▲안전한 집 ▲편리한 가정 생활 ▲홈엔터테인먼트 추구 등의 기능을 한 곳에 담았다. 미디어와 홈 서비스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홈 런처를 구성했고,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해 업로드하면 TV를 통해 가족간 공유가 가능하고 댓글 등을 통해 소통도 가능하다.

특히 B박스 자체에 동작 감지시 자동 알람 및 자동 저장 기능으로 홈모니터링기능을 구현해 자녀나 반려동물을 외부에서도 케어가 가능하다.

이밖에 720p HD급 고화질 대형화면 영상통화가 가능해 TV가 가족간 소통을 더욱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위의석 SK텔레콤 상품기획팀장은 "그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도 과거 유선전화 플랫폼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 스마트폰 시대에 맞춰 편견을 깨고 첫화면 혁신에 주력했다"며 "관련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를 외부 사업자들에게 개방해 '열린 협력을 통한 진화'를 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