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LG그룹, 전경련 탈퇴 통보… 재계 엑소더스 시작되나

반응형
▲ LG그룹이 전국경제인연합회에 탈퇴를 공식 통보했다. LG그룹은 구본무 회장의 탈퇴의사에 따라 이를 실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LG

LG그룹이 27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탈퇴를 공식 통보했다. 4대 그룹 가운데 처음으로 전경련에 탈퇴 통보를 한 곳이 나옴에 따라 대기업들의 탈퇴 행보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7일 LG그룹은 올해 말 전경련 회원사에서 탈퇴키로 하고 이 같은 방침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앞서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탈퇴 의사를 밝힌 만큼 이를 실행한다는 설명이다. 

LG그룹 관계자는 "내년부터 전경련 회원사로 활동하지 않을 계획이며 회비도 납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LG그룹의 탈퇴 처리는 내년 2월로 예정된 전경련 정기총회에서 마무리될 전망이다. 

삼성그룹 역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6일 청문회에서 "전경련에 지원금을 납부하지 않고 탈퇴하겠다"고 말한 이후 실무 작업을 진행 중이다. 삼성은 이미 내년 회비를 내지 않겠다는 입장을 전경련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식적인 탈퇴 통보는 기존 사업의 정산이 마무리된 후 이뤄질 예정이다.

전경련 쇄신안을 우선 검토하겠다던 SK그룹도 내부적으론 탈퇴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이 쇄신 작업에 난항을 겪는 것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전경련은 이달 중순 회원사들을 상대로 의견수렴을 위한 간담회를 수차례 열었다. 하지만 쇄신 대상인 이승철 상근부회장이 쇄신안 마련을 주도하고 있고 주요 회원사인 30대 그룹들이 간담회에 불참하며 쇄신이 어려워진 상황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 6일 청문회에서 "전경련이 환골탈태해야 하고 이를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 SK그룹은 "실무 차원에서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 절차가 논의되고 있으며 탈퇴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설명했다.

전경련의 연간 운영 예산은 400억원 정도다. 삼성, 현대차, SK, LG, 롯데 등 5대 그룹이 내는 회비가 절반에 달해 이들 그룹의 탈퇴는 사실상 전경련 해체를 의미한다. 이미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금융기관들이 탈퇴 절차를 밟은데 이어 재계 주요 그룹의 탈퇴가 가시화됨에 따라 다른 대기업들의 엑소더스도 가속될 전망이다. 

내년 2월 임기가 끝나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의 후임도 문제다. 뒤를 이을 후임이 없어 3회 연임을 한 허창수 회장은 이번을 마지막으로 물러나겠다는 의지가 확고하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후임자 구하기가 더욱 어려워져 전경련이 존속하더라도 수장이 없는 공백사태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경련은 "여러 경로로 회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며 "회원사들이 탈퇴하는 것은 아쉽지만 일단 쇄신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