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특검, 청와대에 '조심 또 조심'..."압수수색은 한번에"

반응형
▲ 청와대의 모습. /연합뉴스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의혹' 수사에 열을 올리고 있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이하 특검)이 청와대 압수수색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필요치않다고 판단되면 압수수색 자체를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도 비췄다.

27일 특검 대변인 이규철 특검보는 "압수수색 문제는 모든 분이 알다시피 상징적인 곳이다. 상당히 신중해야 한다"며 "청와대 압수수색은 예정 없고 수사 과정서 필요한지 필요하면 어딘지 검토해 단 한 번에 해야 한다. 현재 여러 수사 중이라 수사 완료 시점에 고려할 것으로 알고 있다. 법리는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실상 모든 수사를 마친 후 최종적으로 단 한번 확인하는 차원에서 압수수색을 실시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특검보는 "만일 필요 없거나 하더라도 실효 없거나 다른 방법 없으면 안 할 수도 있지 않겠나"라며 압수수색 자체를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도 내비췄다.

현재 압수수색에 관해서는 청와대와 조율자체도 없는 상황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의 수사를 맡았던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몇 차례고 청와대에 압수수색을 요청했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다만 검찰은 증거품을 제출받는 식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면 특검은 직접 압수수색 영장을 실행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다.

특검은 청와대에 대한 조심스런 입장과 달리 '삼성 합병 의혹' 수사에 대해서는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에는 문형표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을 불렀으며 오후에는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을 소환했다. 함께 출석을 요구한 최순실씨는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출석에 응하지 않았다. 

안 전 수석은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강요, '비선실세' 최순실씨의 국정농단 과정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개입이 있었는지 규명할 핵심 인물이다.

특검은 안 전 수석을 상대로 국민연금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찬성 과정에서 청와대의 개입을 받았는지, 박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지 등을 추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의 삼성 계열사 합병 찬성에 청와대의 개입과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면 대기업-최순실-박근혜 대통령으로 이어지는 '제3자 뇌물죄'를 입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 전 수석이 전일 국회 국정조사특위의 '구치소 청문회'에서 재단 출연, 대기업 모금 등에 대해 "박 대통령이 결정하고 지시하고 이를 이행했다"고 말한 만큼 이번 수사가 대통령 혐의 입증의 실마리가 될지 집중이다.

청와대의 '문화계 블랙리스트' 관련해서는 정관주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을 불러 조사했다. 전일에는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조윤선 문체부 장관 등의 주거지와, 문체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한편 최순실씨의 딸 정유라씨에 대해서는 인터폴에 '적색수배' 요청을 한 상태다.

이 특검보는 "정유라씨의 적색수배 요청은 여권 무효화 조치 신청만 있어도 가능하다"며 이날 적색수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특검은 유럽에서 자취를 감춘 정씨에 대해 체포영장 발부, 기소 중지, 독일검철과 사법공조, 인터폴 수배, 여권 무효화 등의 조치를 한 상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