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내년도 예산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일자리 예산"이라고 강조하며 창업지원ㆍ취업취약계층 지원 등 사업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24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전문연구기관(KDI)의 심층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직접 일자리, 중소기업 인턴 등은 단계적으로 축소해나가고, 창업 지원, 직업훈련, 고용지원서비스 등 예산지원 효과가 검증된 사업을 중심으로 편성을 확대"했다며 "일자리 예산을 금년 대비 10.7%나 늘려 17조 5천억원 규모로 대폭 확대하는 한편, 예산 지출의 방향은 창조경제 실현에 맞춰 상당 부분을 바꿨다"고 밝혔다.
정부는 '창업성공패키지' 프로그램을 신설 500개 팀에 5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유망 창업기업이 계속 성장할 수 있도록 도약기 지원을 500억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또한 재기 기업인을 지원하는 '재도전성공패키지'는 100억원까지 늘린다.
'대학창업펀드'도 150억원 규모로 신규 조성하며, '청년 전용 창업자금 융자'를 1천200억원까지 늘리는 등 창업기업 지원 규모를 1조 6천500억원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취업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여성의 육아휴직 후 고용유지 지원금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지원금을 인상하고, 장애인 취업성공패키지를 별도로 마련하는 한편, 노인 일자리도 5만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육아휴직 후 고용유지지원금을 30만원으로 인상, 휴직기간 중 대체인력 지원은 1만명까지 확대, 출산전후 휴가급여 상한액은 150만원으로 올릴 계획이다.
또한 '장애인 취업성공패키지'를 신설해 1만명을 지원, 고용장려금 지원 대상 월 3만6천명까지 확대, 장애인직업훈련 참여수당은 월 31만 6천원으로 인상한다.
노인 일자리 문제도 '기업연계형 일자리' 등을 신설해 노인 일자리를 5만개 늘린다.
정규직 전환지원금 지원 대상을 사내하도급, 캐디 등 특수형태근로자로 확대하고, 지원금은 임금 상승분의 80%까지 올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촉진을 꾀할 계획이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쩌둥' 시대 열리나? 중국 권력 격변 분수령 '18기 6중전회' 개막 (0) | 2016.10.24 |
---|---|
건국대, 학종 자기추천전형 면접…10분 개별면접으로 간소화 (0) | 2016.10.24 |
朴대통령 시정연설..'원활한 합의'ㆍ'개헌' (0) | 2016.10.24 |
원광디지털대, 오는 30일 '2016 도림천 빛오름 축제' 개최 (0) | 2016.10.24 |
롯데면세점 세계 면세사업자 순위 3위...신라는 6위 (0) |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