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주석의 1인독재 조짐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 6중전회 직전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의 자매지 인민논단은 18일자 기사에서 시 주석을 '제2의 마오쩌둥'으로 격상시키려는 의도를 노골화했다. "전략적 도전과 위기 속에서 중국이 다시 굴기하려면 강력한 영수(領袖)가 필요하다"며 "관료와 국민 모두 시 주석을 그 강력한 영수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상하이정법학원의 천다오인 교수는 "영수라는 호칭은 마오쩌둥을 잠시 이었던 화궈펑만이 '현명한 영수'라는 호칭으로 불린 적이 있을 뿐 이후 어느 지도자도 이런 호칭으로 불린 적이 없다"고 했다. 이로 인해 6중전회 이후 시 주석에 대한 호칭의 변화는 1인독재체제의 시작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인독재체제는 장기집권과 동시에 진행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중앙위 정치국 상무위원들이 권력을 나눠갖는 현행 집단지도체제는 10년 주기로 정권교체를 반복해 왔다. 2012년말 1기 시대를 열었던 시 주석은 내년말 시작되는 2기를 마치면 물러나야 한다. 게다가 68세면 상무위원 직에서 은퇴하는 불문율(칠상팔하 : 67세는 취임, 68세는 불가라는 원칙)에도 걸린다. 현재 63세인 시 주석은 2기가 끝나는 2022년이면 69세가 된다. 만약 시 주석이 장기집권에 나서고자 한다면 자신에게 적용되기 이전에 칠상팔하(七上八下) 원칙을 깰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마침 시 주석의 최측근인 왕치산 중앙기율위 서기가 올해 68세라 원칙에 따르면 이번에 은퇴를 해야 한다. 왕 서기가 유임된다면 장기집권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철은 문화를 싣고] 을지로입구역에서 만나는 파리의 밀랍인형 박물관 '그레뱅 뮤지엄' (0) | 2016.10.24 |
---|---|
'수익 악화' 캐세이퍼시픽, 직원 복지 없애 만회? (0) | 2016.10.24 |
건국대, 학종 자기추천전형 면접…10분 개별면접으로 간소화 (0) | 2016.10.24 |
朴대통령 “내년 예산, 취업취약계층 지원 확대..일자리 예산” (0) | 2016.10.24 |
朴대통령 시정연설..'원활한 합의'ㆍ'개헌' (0) |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