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경제 5년간 불황 터널 갖혔던 조선업 기지개 켰다

반응형

5년간 불황 터널에 갖혔던 글로벌 조선업 시황이 서서히 기지개를 켜고 있다.

8일 국제 해운조선 분석기관인 클락슨과 업계에 따르면 신조 선가(새로 만든 배 가격) 지수(1988년 1월 100포인트 기준)는 2010년 142.2포인트에서 2011년 139포인트로 떨어지고, 2012년 126.3포인트로 하락한뒤 주춤한 상태다.

월별로도 하염없이 떨어지던 신조선가 지수는 지난해 11월부터 125∼126선에서 계속 머물며 바닥을 다지고 있다. 3월 현재 125.6 포인트를 기록중이다.

선가 하락이 중단됐다는 점은 2008년 이후 5년간의 불황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아울러 글로벌 조선시황을 보여주는 또다른 지표인 전세계 신조 발주척수도 3월 94척7200만DWT(재화총화물톤수) 규모로 척수로는 전월 대비 7%, DWT 규모로는 12% 늘어나는 등 상승 추세다.

분기별 실적으로도 지난 1분기에 기록한 277척의 발주량은 2011년 1분기보다 93%, 2012년 1분기보다 39% 늘어난 수치다.

특히 한국 조선업이 강점을 가진 LNG선과 시추설비의 용선계약 체결이 늘고 있다는 점은 바닥 탈출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엔화 약세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조선업황의 회복도 불확실하다는 시각도 여전하다. 선가의 바닥세가 지나치게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불확실성을 높여주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