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편성채널 및 보도전문편성이 개국 이후 100건의 법정제재를 받는 등 막말방송 및
선정성이 심각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무소속 강동원 의원은 15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방송통신위원회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종편채널은 개국한 이후 84건, 보도전문채널은 2008년 이후 16건 등 총 100건의 법정제재를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이명박 정부시절 인허가 심사 당시부터 논란을 빚은 종편채널은 개국 이후에도 저조한 시청률, 공정성 시비,
막말·선정성 방송 등 수많은 비판이 있어와 더욱 논란이 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편은 2012년 42건, 올해에는 7월 말까지
42건의 법정제재를 받았다. 세부적으로는 주의 36건, 경고 33건, 방송프로그램 관계자에 대한 징계 및 경고 12건, 시청자에 대한 사과
2건, 프로그램 중지 및 경고 1건 등이다.
이는 보도전문채널이 2008년 이후 올해 7월 말까지 5년7개월간 총 16건의
법정제재를 받은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수치다.
종편 채널별로는 JTBC가 총 26건의 법정제재를 받으며 가장 큰 지적을 받았고,
채널A 23건, TV조선 18건, MBN 17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의·경고 이상의 중징계가 가장 많은 종편채널은 채널A가
차지했다. 채널A의 경우 방송프로그램 관계자에 대한 징계 및 경고 5건, 시청자에 대한 사과 2건, 프로그램 중지 등 경고 1건으로 나타났다.
JTBC는 3건, TV조선 2건, MBN이 2건의 방송프로그램 관계자에 대한 징계 및 경고 제재를 받았다.
강동원 의원은
"종편채널이 개국 직후부터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더니 막말·선정성 등의 방송으로 2년도 채 안된 상태에서 무더기 법정제재를 받았다"면서 "방통위는
종편재심사를 하면서 시청자에 대한 사과, 프로그램 중지 등 무거운 법정제재 조치경력 등을 감안해 철저한 심사를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재영기자
ljy0403@metroseoul.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