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국감] 'BMW·벤츠' 최대 560만원 싸게 사는 방법?

반응형
자동차 시장의 수입차 제조사의 금융사(캡티브 금융, 리스·할부금융 포함)가 국내 금융사에 비해 최대 566만원이 더 비싼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연간 이용료와 비교하면 수입차 제조사의 금융사가 국내 금융사보다 최대 1119억원을 더 벌어들이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주당 민병두 의원은 벤츠와 BMW의 캡티브 금융을 국내 금융사와 동일 차종을 기준으로 견적서를 비교한 결과 3년 기준으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5일 밝혔다.

국내 판매량이 가장 많은 벤츠 E300의 리스료는 벤츠파이낸셜서비스 코리아를 이용할 경우 산은캐피탈에 비해 372만6000원, 우리파이낸셜에 비해서는 366만1000원이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할부금융료는 벤츠파이낸셜서비스 코리아가 산은캐피탈과 우리파이낸셜에 비해 각각 172만7000원, 153만2000원이 더 많았다.

BMW 520D를 기준으로 하면 BMW파이낸셜서비스 코리아 리스료는 우리파이낸셜에 비해 566만3000원이 비쌌고 하나캐피탈에 비해 469만5000원 더 높게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할부금융 차액 역시 BMW파이낸셜서비스 코리아가 산은캐피탈(172만7000원), 우리파이낸셜(95만7000원)보다 최대 170만원 가량 차액을 보였다.

벤츠와 BMW 구입자의 자동차금융 이용 비율(약 70%)과 벤츠(2만대)와 BMW(2만8000대)의 연간 총 판매대수 등을 감안, 추계하면 두 자동차 제조사의 자동차 금융은 국내 리스사에 비해 연간 최대 1119억원의 초과 이익을 올리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