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간 간접광고로 인한 방송사 매출액이 863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최재천 의원은 15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간접광고 제도가 도입된 2010년부터 올 8월까지 케이블을 포함한 지상파 3사의 간접광고 매출액 규모가 총 863억8000만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2010년 대비 약 6배 증가한 규모다.
연도별 간접광고 매출액 규모는 2010년 44억2000만원에서 2011년
207억7000만원, 2012년 344억3000만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도 8월까지 매출만 지난해에 근접한 267억6000만원에
달했다.
각 방송사의 간접광고 계약실적과 계약금액 규모 역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우선 KBS는 2010년에서
2012년 사이 계약실적이 7건에서 101건으로 14.4배, 계약금액은 3억1000만원에서 72억4000만원으로 23.3배 증가했다. SBS는
계약실적 5.6배, 계약금액이 7.5배 증가했으며, MBC는 계약실적 4배, 계약금액 3.5배 증가했다. 케이블TV는 계약실적 3.9배,
계약금액 5.7배로 각각 늘었다.
이처럼 간접광고는 광고주와 방송사 및 제작사 양자 모두에게 경제적 이익이 될 수 있으나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간접광고로 인한 시청권 침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방송의 상업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최재천 의원은 "지나친 간접광고는 방송의 내용과 광고가 구별되지 않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 방송의 상업화로 인한 공익성
훼손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방통위는 시청자의 시청권을 보장하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재영기자
ljy0403@metroseoul.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