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24일 광화문 KT 사옥에서 K뱅크 추진현황 설명회를 열고 오는 9월말 본인가를 신청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를 위해 K뱅크 준비법인은 지난 22일부터 60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통합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금융결제원과 은행연합회, 신용정보회사, ATM 밴사 등 20여개 기관과 연동테스트를 병행 중이다.
앞서 K뱅크 준비법인은 지난 1월 서비스 분석과 설계에 분격 착수해 3월말 시스템 개발에 들어갔고, 7월초 금융결제원 연동 등 시스템별 단위 테스트를 진행해 왔다.
K뱅크는 비대면 종합은행을 실현하고 모바일만의 새로운 영역에서 개척자의 역할을 지향하며 비용 절감을 통한 최고의 금리혜택과 차별된 신용평가 모델로 저렴하고 편리한 맞춤식 대출 등을 순차적으로 서비스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한 마디로 K뱅크의 고객은 스마트폰을 손에 쥔 소비자라면 모두 해당되는 셈이다. K뱅크는 이를 활용해 보다 강화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편의점 멤버십 카드 등 결합할인과 O2O 상품을 출시하는 등 이통사만의 강점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K뱅크는 지난 1월 설립 당시 자본금 160억원에서 시작해 3월 2500억원까지 유상증자를 완료했다. K뱅크의 주주는 통신과 금융, ICT(정보통신기술), 플랫폼, 글로벌 기업 등으로 구성됐다.
이외 플랫폼은 GS리테일과 에잇퍼센트, 이지웰페어, 얍컴퍼니가 있고 글로벌 기업으론 알리페이와 한국관광공사, 스마일게이트 등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K뱅크의 성공 여부는 금융당국의 역할과 직결된다. 금융위원회 등 금융당국은 인터넷은행이 핀테크 시대를 주도할 금융계의 '메기 역할'을 기대하고 있지만 산업자본의 은행지분소유를 현행 4%로 제한한 은행법은 발목을 붙잡고 있는 형국이다. 대기업의 은행 사금고화를 우려하는 은산분리(산업자본의 은행 소유 금지) 완화도 뒷받침돼야 한다.
이는 비단 K뱅크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은행법 개정안이 20대 국회 출범 이후 또 다시 발의됐지만 여야의 온도차는 여전하다는 점도 남은 숙제로 지적된다.
- ▲ 이날 자리에선 은산분리 개정 등 정부의 규제 완화를 꼬집는 의견도 나왔다. 글로벌 핀테크 시장은 활성화되며 급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시장은 규제가 온실역할을 해왔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24일 K뱅크 추진현황 설명회 현장. /나원재 기자
이 교수는 이어 "중국의 경우 알리바바 등 늦게 시작했지만 빠르게 성장한 기업을 두고 현지 은행들이 포털사에서 은행을 하냐고 비아냥댔지만 정부에선 신산업을 과감히 밀어줬다"며 "우리도 이르한 환경을 바라보고 벤치마킹 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안 대표는 "K뱅크 서비스가 시작되면 밤 11시에도 은행 계좌를 만들 수 있다"며 "이르면 오는 11월 중 24시간 은행업무가 가능한 앱을 출시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 속으로 들어온 인공지능, 기존 일자리 대신 신규 일자리 만든다 (0) | 2016.09.08 |
---|---|
한진해운발 물류대란 현대상선 진화 나서…대체선박 투입 (0) | 2016.09.08 |
넷마블, 모바일 MMORPG '리니지Ⅱ:레볼루션' 10월 출시 (0) | 2016.08.12 |
7~9월 전기요금 20% 절감 혜택...정부 입장 급선회한 까닭 (0) | 2016.08.12 |
'금리 수난시대'…기준금리 인하 공포 (0) | 2016.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