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청 전방위적 위기...핵심 국정과제 표류하나
'순방 징크스'의 덫인가, '조기 레임덕'의 가속화일까.
박 대통령의 국정동력 근거지인 TK(대구·경북)부터 통치 권력의 양 날개 친박(친박근혜)계와 검찰 사정 라인까지 당·정·청이 전방위적으로 위기에 빠진 것이다.
20일 정치권에선 박 대통령을 둘러싸고 릴레이 악재가 터지면서 집권 4년차 중반 조기 레임덕(권력누수 현상)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 같은 전망이 나오면서 핵심 국정과제들은 추진력을 상당 부분 잃었다. 여소야대로 가뜩이나 국정과제 실행을 위한 법안 등의 통과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노동개혁을 비롯한 4대 구조개혁과 산업구조조정, 창조경제 등이 표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된 셈이다. 경제계를 중심으로 남은 임기가 잃어버린 1년 6개월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당초 레임덕은 4·13총선에서 여당이 참패를 하며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뒤이어 '영남권 신공항' 문제로 빚어진 지역갈등이 사드로 불이 옮겨 붙으면서 민심은 국론 분열 수준으로 격화됐다.
여당 텃밭이 붕괴수준으로 치달은 상황이지만 정부 여당은 중재 역할을 소화해 내지 못했다. 8·9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박계와 비박계로 나뉘어 내부 분열하던 새누리당은 최근 친박계 중심인 최경환·윤상현 의원을 중심으로 불거진 '총선 개입 녹취록' 파문으로 혼돈에 빠졌다. 여기에 현기환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까지 총선에 개입한 정황이 드러난 녹취록이 공개되자 당청은 패닉 상태에 빠졌다.
- ▲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과 현기환 전 정무수석이 각각 '처가 부동산 의혹'과 총선 공천 개입 의혹에 휩싸였다. 사진은 지난 1월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는 우 수석과 현 수석(왼쪽부터). /뉴시스
결국 우 수석은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검찰이) 오라면 간다. 하지만 '모른다. 아니다'밖에 (할 말이) 없다"며 의혹을 재차 부인했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한국갤럽에 따르면 이 지역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총선이 있던 4월 평균지지율이 49%로 과반이 붕괴된 뒤 5월 44%, 6월 40%를 기록하며 꾸준히 하락세다.
관심은 박 대통령이 난관을 어떻게 돌파해 나갈지에 쏠렸다. 악재 극복을 위해서는 인적쇄신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오히려 정국이 더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사드정국과 가습기 국정조사, 전당대회 등 국회사정도 여의치 않아 국정 과제 지연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정권까지 흔들릴 수 있다"며 우 수석의 사퇴를 압박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대대표도 "'권력 금수저' 우병우 뇌관을 시급히 제거하고 전면 개각을 해야만 레임덕 폭탄을 막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사노예' 가해자 솜방망이 처벌받나? (0) | 2016.07.21 |
---|---|
부가세 별도 '꼼수' 방송통신 요금제 사라진다 (0) | 2016.07.21 |
종로타워 화재, 인명피해 없이 종료 (0) | 2016.07.21 |
서울시, 124만 소상공인 지원정책 강화한다 (0) | 2016.07.21 |
주금공, 서울·부산서 찾아가는 주택금융강좌 개최 (0) | 2016.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