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인 김 모씨는 20억원대의 운용자산(올해 상반기 기준)을 보유한 큰 손이다. 그는 물려받은 자산과 금융상품 투자로 생활하는 '위험 중립형' 투자자로 분류된다. 사모 주가연계증권(ELS)에 투자했다가 쓴 맛을 본 그는 부동산투자로 눈을 돌렸다. 하지만 수십 대 일의 청약 경쟁률에 입이 떡 벌어졌다. 고심 끝에 은행 PB를 찾았다. "사모 부동산펀드에 투자하면 직접투자보다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권유에 3억원을 투자했다.
자본시장까지 퍼진 부동산 광풍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펀드의 레버리지 비율은 64.4%에 달한다. 헤지펀드(2014년말 기준, 63. 0%)보다 높다. 금리 리스크가 부각될 경우 이자비용(수익률 하락)이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18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사모부동산펀드 설정 잔액은 41조9207억원에 달한다.
지난 8월 40조원을 넘어선 이후 꾸준한 증가세다. 올해 신규 펀드 조성액도 7조9420억원에 달한다. 매달 8000억원 가량의 뭉칫돈이 들어왔다는 얘기다.
지난해 전체 증가액인 5조5525억원 보다도 2조원 이상 많다.
지난 2월 말 코람코자산운용은 20여명의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100억원 규모의 제1호 블라인드 펀드를 설정해 연 6.5%의 안정적 배당(매각차익 미포함)을 목표로 운용 중이다. 블라인드 펀드는 자산운용사가 투자 전략과 투자 대상에 대한 기본적인 가이드라인만 정하고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한 후 투자 대상을 발굴·투자하는 구조다.
뭉칫돈은 몰리지만 부동산 투자 수익률은 신통치 않다. 부동산 인수가격이 덩달아 뛰고 있어서다. 특히 인수 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투자 수익률이 5~6%를 유지하기 힘든 것으로 전해진다.
하나자산운용은 하나금융투자, 미래에셋대우, HMC투자증권 등 3개 증권사와 전문사모형 부동산펀드를 조성해 다국적 제약회사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의 미주 본사 사옥을 인수했다. 이 건물은 미국 뉴저지주(州) 프린스턴 바이오헬스케어 클러스터에 있는 연면적 67,921㎡ 규모의 오피스 빌딩으로 전체 인수가는 3억500만 달러(약 3500억원)다. 노보노디스크가 미주 본사 용도로 최소 15년 이상 장기 임대해 연간 7∼9%대의 수익률이 기대된다고 하나자산운용은 전했다.
삼성증권은 고객수익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내년 6월 사모형 부동산펀드를 내놓을 예정이다. 8월 삼성증권이 삼성SRA자산운용 등과 함께 9000억원을 들여 인수한 독일 최고층 빌딩인 코메르츠방크타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모집한도는 4000억원가량으로 계획하고 있다. 삼성증권은 5년 뒤 코메르츠방크타워를 매각할 계획이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올해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꺼진다면 높은 가격에 사들인 해외 부동산 자산이 급격하게 부실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8월 발간한 '국내 대체투자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부동산간접투자의 투자수익률이 저하되고 해외 대체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의 경우 금융위기 당시 부동산경기 침체 영향으로 부동산 자산에서 -47.9%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손실률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경제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페이, 누적 결제 1조원 돌파 (0) | 2016.10.19 |
---|---|
삼성 갤럭시S8엔 이런 매력이…예상 가능한 시나리오 (0) | 2016.10.18 |
[국감]임종룡 "예금자보호한도 조정 신중해야…서민 위해 보금자리론 규제" (0) | 2016.10.18 |
금융위 "고정금리대출 비중 30% 넘어"…野 "5% 밖에 안돼" (0) | 2016.10.18 |
'强달러'에 뭉칫돈, 역외펀드 1조원 사상 최고 (0) | 2016.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