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일주일 남은 수능 "긴장 풀고 복습하세요"

반응형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열흘 앞둔 7일 서울 중구 이화여고 교정에서 학생들이 관계자들이 만들어 놓은 '수능 대박' 글귀 주변을 걷고 있다./연합뉴스

이제 일주일 남았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수험생이 몸과 마음을 최상의 상태로 끌어올릴 때다. 이에 입시학원들이 수능 전 '일주일 사용법'을 공개했다. 

9일 학원가에 따르면, 수험생이 기본적으로 기억할 내용은 세 가지다. 첫째, 산만한 마음을 정리해야 한다. '내가 잘 할 수 있을까'라고 의심하거나 성적이 높다고 자만하지 말아야 한다. 이종서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반복적으로 시험장에 있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며 "불안요소를 간접경험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일어날 법한 문제를 미리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용관 스카이에듀 총원장도 "시험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난 수험생활이 아쉽겠지만 시간을 돌릴 수는 없다"며 "초조해하지 말고 남은 기간 담담하게 학습 내용을 상기하라"고 말했다. 

둘째, 지금까지의 학습 경험을 정리해야 한다. 문제를 읽을 때 '어디선가 본 적 있는' 느낌이 아니라 '정확히 안다'는 확신을 가지기 위해서다.

특히 수능 연계율이 70%인 EBS 교재를 다시 읽어둬야 한다. 국어와 영어영역은 EBS 지문이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므로 실제 수능과 연계되는 교재 지문은 다시 확인해야 한다. 

정용관 총원장은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려는 생각은 금물"이라며 "오답노트나 그동안 공부한 문제집에서 틀린 문항을 찾고 취약점과 잘못 이해한 부분을 확인해 정리하라"고 조언했다. 

이종서 소장은 "객관식 시험에서는 확립되지 않은 정보가 외려 선지를 고를 때 혼란을 가중시킨다"며 "넓게 아는 것보다 깊게 아는 것에 방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시험장에서 최상의 몸 상태를 만들 수 있도록 생활리듬을 맞춰야 한다. 수능은 오전 8시 40분에 시작된다. 적어도 8시까지 교실에 도착해 자신이 쓸 책걸상이 흔들리지 않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이 소장은 "일주일 동안 아침 6시에 일어나 두뇌를 깨우는 연습을 해야 한다"며 "수능과 똑같은 시간대에 같은 영역을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라"고 말했다. 수능에 맞춰진 신체리듬이 그 흐름을 기억한다는 설명이다.

문제 풀이 연습도 마찬가지다. 정용관 스카이에듀 총원장은 "수능 답안지와 똑같이 생긴 답안지와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마킹을 연습해 답안지 기록에 걸리는 시간을 염두에 두라"고 조언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건강'이다. 수험생은 손을 자주 씻고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 감기에 걸려 고열이나 몸살, 콧물 등으로 당일 시험을 망쳐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식사도 소화가 잘되는 음식 위주로 섭취하면서 탈이 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