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작년 50세 이상 취업자 965만명… 취업자 중 37% 차지

반응형

쳥년층 취업자 보다 2배 많아...노동시장 왜곡 현상 갈수록 심화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로 일컬어지는 50세 이상 장년층의 취업자가 지난해 965만명으로 전체 취업자 중 3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층(15-29세) 취업자 393만 8000명 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수로 노동시장의 왜곡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청년실업률이 사상 최대를 갱신하고 있는 가운데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후 재취업 또한 본격화 되고 있어 청년층과 장년층 모두를 만족시킬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16일 발표한 '장년층 노동시장 현황 및 특징'을 보면, 지난해 기준 50세 이상 장년층 취업자는 965만 4000명으로 전체 취업자 2593만 6000명의 37.2%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과 중년층의 고용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낮은 데 비해, 장년층 고용률은 아이슬란드 71.9%, 노르웨이 57.1%에 이어 세 번째로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고용부는 "인구 및 기대수명 증가, 빠른 은퇴, 미흡한 노후준비 등으로 장년층의 노동시장 참여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이처럼 장년층 상당수가 재취업을 원하나, 재취업 일자리는 주로 단순노무직 등 가장 오래 종사한 일자리와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들에 이어 조만간 퇴직 시기에 들어갈 베이비붐 2세대(1964-1974년생)는 인구 수도 더 많고 고학력이라, 양질의 재취업 기회에 대한 요구는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고용부 관계자는 "베이비붐 세대는 과거 세대보다 고학력, 고숙련이며, 노동시장 참여에 적극적"이라며 "미흡한 노후준비가 질 낮은 일자리 선택으로 이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지 않도록 노후대비와 양질의 일자리 확충을 위한 장기적이고 과감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이더라도 유연한 근무여건을 선호하는 장년층의 일자리 니즈에 부합하는 일자리 확충을 위해 지속적인 노동개혁 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달 청년 실업률은 장년층 취업자 비율과 대조를 보였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실업률은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한 3.6%로 2005년 9월 3.6%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이중 청년실업률은 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p 올라 9월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 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9.9%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