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전세세입자 내집마련 적기? 전문가들 일문일답

반응형
정부의 8·28 전월세 대책과 강남의 재건축 추진 가시화 등으로 침체된 부동산 시장에 조금씩 화색이 돌고 있다. 전세 세입자들은 살아나는 시장 분위기 속에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잡으려고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연말까지 적용되는 각종 지원책과 금리 상승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지금 주택 구입을 실행에 옮겨도 괜찮다고 봤다.

다음은 전문가들과의 일문일답.



Q: 전셋값이 더 오를지?

A: 계속 오를 것으로 본다. 집 살 사람들도 다 전세에 몰리는 등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부동산써브 정태희 리서치팀장)



Q: 강남 재건축이 가시화되고 있는데 전세시장에 미칠 영향은?

A:재건축이 시작돼 기존 주민들의 이주가 시작되면 전세난이 더 악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강북보다 강남 지역의 전세난이 심해질 수 있으며 적어도 내년까지 이런 흐름이 이어진다고 봐야 한다.(닥터아파트 권일 리서치팀장)



Q: 향후 집값 상승 기대감이 많지 않기 때문에 집을 구입하기 꺼려지는데.

A: 지금 무조건 사야한다고 본다. 현재 고정대출금리가 4% 미만인데 향후 시장 상황을 감안하면 이런 금리 수준은 앞으로 없을 것으로 본다. 금리를 고려하면 주택을 구입할 시기다.(부동산써브 정태희 리서치팀장)



Q: 올해 내 집 마련을 노리는 수요자에게 조언을 한다면?

A: 집값이 바닥을 쳤다고 보기 때문에 올해 하반기를 내 집 마련의 적기로 본다. 정부가 반드시 부동산 시장을 살리겠다는 의지를 가진 점도 판단의 근거다. 강서 쪽의 아파트 매입을 고려한다면 낡은 아파트보다는 입주 5년 미만의 새 아파트 구입을 추천한다. 또 아파트를 고를 때 과거 2~3년 전의 시세와 최근 시세를 비교해 가격 변동폭을 따져보고 최근 나온 물량 중에서 급매물 비중도 파악해야 한다.(닥터아파트 권일 리서치팀장)/김현정기자 hjkim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