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최대 개발 vs 철거 중 사망자 6명' 명암 갈린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해제 고시

반응형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불렸으나 철거과정에서 6명이 사망해 명암이 갈렸던 용산국제업무지구가 결국 무산됐다.

서울시는 10일 토지소유 요건 미달로 자격이 상실된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시행자 지정을 취소하고 도시개발구역 지정해제를 고시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5일 도시개발구역 해제 방침을 밝히면서 시보를 통해 같은 달 12일 고시할 예정이지만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의 개발부지 소유권 이전등기가 미뤄지면서 늦춰졌다.

구역이 해제되면서 2007년 8월 사업 계획 발표 후 6년여 동안 표류한 용산개발사업은 모두 백지화됐다.

서울시는 사업 초기 지정한 이주대책기준일 해제도 함께 공고했다.

앞서 코레일은 사업해제를 결정하고 지난달 5일 토지대금으로 받은 자산유동화증권(ARS) 1조197억원을 반환하면서 철도정비창 부지를 회수했다.

사업시행자인 드림허브는 요산 개발 사업부지의 3분의 2가 안 되는 59.6%만 갖게 돼 자동으로 사업권을 상실했다.

서울시는 "구역해제는 단기간 안에 사업재개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부동산 거래 숨통을 틔워 주민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자는 판단에 따라 내린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개발사업이 백지화하면서 서울 서부이촌동 일대는 재생사업을 통해 현대화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노후주거지를 중심으로 지역 주민과 도시관리계획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주거환경 개선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달 1일 용산구 주민과 만난 자리에서 "용산사업이 주민께 고통만 안긴 채 끝나가고 있고 그 과정에서 서울시가 충분히 역할을 못해 죄송하다"면서 "여러분 의견을 검토해 시의 새 역할을 찾겠다"고 말했다.


반응형